
신계용 경기 과천시장이 9일 빅데이터 분석 본격 착수와 관련, "이번 빅데이터 분석 사업은 단순한 데이터 수집이 아닌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맞춤형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이라고 피력했다.
이날 신 시장은 시청 상황실에서 ‘민간데이터를 활용한 빅데이터 분석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고, 시민 체감형 정책 개발을 위한 본격적인 분석에 들어갔다.
이번 사업은 통신사 기반 이동 인구, 카드사 소비 특성 등 시가 자체적으로 수집하기 어려운 민간데이터를 행정에 접목해 정밀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신 시장은 앞서 전 직원을 대상으로 민간데이터 활용 교육을 실시하고, 전 부서 대상, 데이터 분석 수요 조사 및 면담을 진행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상권 실태와 축제 특성, 버스 이용 현황, 건물 에너지 특성 등 3개 주요 분석 과제를 선정했다.

신 시장은 지역 상권과 축제 방문객 특성 등을 분석해 축제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 방안 등에 활용하기로 했다.
또한 시간대별 버스 승하차와 환승 정보, 정류장 혼잡도, 생활이동인구 정보, 버스 노선 체계 등을 분석해 대중교통 정책에도 반영할 예정이다.
한편 신계용 시장은 “객관·과학적인 데이터에 기반한 정책으로 시민 불편과 요구에 발 빠르게 대응하고, 더 똑똑한 과천을 만들어가겠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