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설문조사] 전문가들 "4월 동결" 무게 속 '깜짝 인하' 고개

아주경제 그래픽팀
[아주경제 그래픽팀]
한국은행이 이번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회의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2.75%로 묶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다만 통방회의가 임박할수록 선제적 인하설도 고개를 들고 있다. 환율이 1420원대까지 내려온 데다 5월 통방회의가 6월 대통령 선거 직전이라는 점에서 금통위원들이 깜짝 인하 카드를 꺼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14일 아주경제신문이 거시경제·채권 전문가 10명을 대상으로 4월 한은 금통위의 금리 결정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5명이 만장일치 동결, 4명은 동결하되 인하 소수의견 1명, 나머지 1명은 0.25%포인트 인하하되 소수의견 2명을 점쳤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폭탄 충격으로 환율이 하루에도 30원 이상 널뛰는 만큼 일단 4월엔 숨고르기 하되 경기 하방 압력 완화를 위해 5월 금리 인하를 할 것이란 게 중론이다. 원·달러 환율은 상호관세 유예 소식과 함께 이날 1420원대까지 떨어지긴 했지만 지난 9일 미국의 상호관세가 발효되자 1484.1원까지 급등하며 금융위기 수준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환율이 언제 다시 1500원을 위협할지 모르는 상황으로 봤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경기만 보면 당연히 인하를 해야 할 정도의 환경"이라면서도 "트럼프 관세 정책의 방향성이 하루 만에 급선회하는 모습을 보면 일단 경제적 충격이나 부담 등 반응을 보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고 평가했다.

백윤민 교보증권 연구원도 "당분간 미 관세 정책에 따른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국면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는 만큼 4월에는 동결을 예상한다"고 밝혔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 역시 "한은은 경기 부양 필요성을 우선하면서도 환율 안정과 상충관계에 있어 균형있게 고려하겠다는 스탠스를 펼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월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난 2월 25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금리 인하 시 들썩이는 금융·부동산 시장의 부작용도 동결을 점치는 요인이다. 윤 연구원은 "관세정책에 대한 경기 하방 리스크만 가지고 금리 인하를 할 경우 유동성 공급이 자영업자나 생산적인 곳에 가는 게 아니라 집값으로 쏠릴 가능성도 유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안재균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글로벌 자금 이동이 극심해진 상황에서 금리 인하 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단기 물가 상방 압력을 우려하며 "물가 갭의 마이너스 전환을 예단하기 어려운 만큼 4월 금통위에서 무리한 금리 인하 추진보다 국내외 경제 상황 변화를 보며 향후 통화정책 대응 가능성을 열어두는 것이 유리하다"고 판단했다.

응답자 중 70%의 전문가들은 5월 금리 인하에 베팅했다. 전문가들은 4월 금통위에서 성장률 전망치 하향 폭을 주목했다. 5월 발표 예정인 수정경제전망에 앞서 성장에 대한 우려가 깊게 제시된다면 금리 인하 전망이 강화될 공산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금융안정 요인에 초점을 맞추며 4월엔 동결하되 경기 하방 요인이 증대한 만큼 1~2명 위원이 인하 소수의견을 제기하며 5월 인하 가능성을 열어둘 것"이라며 "통방문에서 성장률 하향 조정 가능성을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보다 강도 높은 관세 정책에 경기 하방 압력이 높아지면서 금통위가 4월에 깜짝 인하를 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추가경정예산안(추경) 편성 진행이 더딘 데다가 규모도 한은이 당초 경기 부양을 위해 추산한 15~20조원보다 적은 10조원인 만큼 통화정책의 역할이 필요하지 않겠느냐는 해석이다. 

다음 금통위 통방회의(5월 29일)가 대선(6월 3일)을 코앞에 둔 시점이라는 점도 4월 인하설에 힘을 보태고 있다. 선거 자체가 시장 변동성을 키우는 이벤트이며 금리 결정이 정치적 해석될 수 있는 여지 있는 만큼 금통위원들이 부담 느낄 가능성 크기 때문이다. 

인하에 베팅한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내수, 수출 경기 부진의 이중고를 겪고 있는 국내 경제 상황을 고려할 경우 선제적으로 4월에 인하할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