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대북정책 틀 형성' 아미티지 전 美국무부 부장관 별세

  • WP "미국 국가 안보의 핵심 인물"

리처츠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사진연합뉴스
리처츠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 [사진=연합뉴스]


미국 정부의 대북정책 틀을 형성했다고 평가받는 리처츠 아미티지 전 국무부 부장관이 13일(현지시간) 버지니아주 알링턴의 한 병원에서 향년 79세의 나이로 별세했다.
 
그가 설립한 컨설팅 기업 ‘아미티지 인터내셔널’은 이날 성명을 통해 “무거운 마음으로 아미티지 전 부장관의 별세 소식을 전한다”며 “사인은 폐색전증”이라고 밝혔다.
 
고인은 레이건 행정부에서 국방부 차관보, 조지 W 부시 대통령의 첫 임기 동안 콜린 파월 국무장관의 부장관으로 미국 외교 정책의 핵심 역할을 수행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아미티지는 베트남 전쟁부터 2001년 9·11 이후 테러와의 전쟁까지 미국 국가 안보의 핵심 인물이었다”고 평가했다.
 
아미티지는 1945년 4월 미국 매사추세츠주 웰즐리에서 태어나고 애틀랜타에서 자랐으며, 1967년 해군사관학교를 졸업한 후 베트남전에 참전했다.
 
그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국무부 부장관으로 재직하며 한국 김대중 정부와 공조해 대북 문제 등 한반도 관련 사안에 깊이 관여했다. 그는 햇볕정책에는 비판적인 입장을 취했지만, 북한에 대해 단호하되 유연한 접근법을 추구하는 실용주의적 입장으로 평가받는다.
 
또 2002년 미군 장갑차에 중학생 2명이 사망한 ‘미선이·효순이 사건’으로 한국 내 반미 정서가 확산했을 때 부시 대통령의 사과와 유감 메시지를 전달하는 메신저 역할을 맡았다.
 
그는 은퇴 이후에도 컨설팅 회사 등에서 일하면서 공화당 내 안보 정책 중진으로 미국의 전략에 관해 지속적으로 목소리를 냈다.
 
특히 그의 주도로 공화당 대북정책 연구그룹이 1999년 발간한 일명 ‘아미티지 보고서’는 그간 미국 정부의 대북정책의 틀을 형성했다고 평가받는다.
 
이 보고서는 북한과 협상을 추진하되 외교적 노력이 실패할 경우 봉쇄와 억제 강화, 선제공격 등 대안을 택할 수 있다고 제언하면서도 “이 중 어느 것도 매력적인 선택지는 아니다”라는 내용을 담았다.
 
아미티지 보고서를 후원한 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연구소(CSIS)는 “그는 아시아 안보 정책 분야에서 존경받는 거장이었고, 용기 있는 정책 리더이자 진정한 애국자, 의리 있는 친구였다”며 고인을 추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제3회 보훈신춘문예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