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5일(현지시간) 미 뉴스위크에 따르면 홈페이지에 공개한 팩트시트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해방의 날'(이달 2일)에 모든 국가에 관세를 부과한 뒤 75개국 이상이 미국과의 새 무역 협정을 논의하기 위해 연락해왔다며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에 개별적으로 부과된 높은 관세는 중단(유예)됐다고 밝혔다.
이어 "중국은 보복 행동의 결과, 이제 최대 245%의 미국 수입품(중국의 대미 수출품) 관세에 직면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백악관의 설명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날 희토류 등 핵심 광물 수입이 국가 안보 및 경제에 미치는 영향 조사를 지시했다는 내용을 발표하면서 앞서 이뤄진 트럼프 행정부의 또 다른 자국 산업 보호 조치들을 설명하는 과정에서 나왔다.
이후 백악관은 지난 10일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중국산 수입품에 매긴 합계 관세율이 총 145%라고 밝혔는데, 닷새 뒤 홈페이지에 올린 자료에는 이보다 100% 높은 수치를 명시한 것이다.
이날까지 나온 백악관의 발표나 미국 언론 보도에 따르면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대한 관세를 종전의 145%에서 추가로 더 인상한 사실은 없다.
이에 이번에 백악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관세율 '최대 245%'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전쟁 이전부터 부과됐던 기존 관세를 포함한 특정 품목에 국한된 관세를 염두에 둔 것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출되는 주사기에는 245%의 관세가 부과된다.
이에 중국 신화통신 계열의 소셜미디어 계정 뉴탄친은 "종전 145%보다 100% 늘어난 245% 관세율 표기는 웃기는 일"이라며 "중국 정부가 미국 관세 인상에 더는 맞대응하지 않겠다"고 지난 11일 발표를 상기시켰다.
앞서 지난 11일 중국 국무원은 국산 수입품 관세를 84%에서 125%로 높이는 조정안을 발표하면서 "앞으로 미국이 관세를 아무리 높게 인상하더라도 경제적 의미는 이제 없고, 세계 경제사에서 웃음거리가 될 것"이라며 "미국이 관세로 숫자놀음을 계속한다 해도 이제 무시할 것"이라고 했다.
이어 "미국이 계속해서 관세를 더 높이고 있는데 이것은 진짜 숫자놀음"이라며 "당연히 중국에도 할 말이 있지만 우리는 무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