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외산에 국산 상표 붙인다고 '소버린 AI' 아니야"

  •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 '소버린 AI' 관련소신 발언

  • 네이버, 온서비스 AI에 강점…검색·쇼핑·블로그 등에 적용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가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발표하고 있다. [사진=네이버클라우드]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해지는 상황에서 인공지능(AI) 주권 확보가 중요해지고 있는데, 네이버가 그간 강조해 온 소버린 AI 전략의 철학과 비전을 공유했다. 

김유원 네이버클라우드 대표는 23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스퀘어 역삼점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미중 기술 패권이 치열해질수록 우리 스스로 AI를 만들 수 있는 역량인 소버린 AI가 더욱 중요해졌다"면서 "AI는 보안과 안보와 직결될 수 있는 국가를 구성하는 기본 인프라가 되고 있기 때문에 소버린 AI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외산 기술에 우리 상표를 붙이고 소버린 AI라고 하는 것은 언어도단"이라고 밝혔다. 최근 KT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협력해 소버린 AI를 구현하겠다는 것에 부정적 입장을 드러낸 것이다.

김 대표는"우크라이나 전쟁을 보더라도 국가의 운명이 미국 등 외부의 기술 의존도에 좌우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면서 "네이버는 제국주의적인 사업 확장이나 한 기업의 스탠다드를 강요하는 것이 아닌, 국가적 거버넌스의 다양성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기술 생태계를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네이버는 자체 개발한 생성형 AI '하이퍼클로바X'를 중심으로 멀티모달·추론형 모델 등 기술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모델을 오픈소스로 공개해 국내 AI 생태계 확장을 견인하겠다는 포부다. 이날 네이버는 경량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바X 시드' 3종을 상업용으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오픈소스로 공유했고, 상반기 안에 추론형 모델 출시 계획도 밝혔다. 

또 오픈AI, 제미나이 등 글로벌 빅테크와 비교해 네이버는 온서비스 AI 측면에서 차별적 강점이 있다고도 했다. 네이버는 검색, 쇼핑, 블로그 등 다양한 서비스에 AI를 적용하고 있고, 온서비스AI에 초점을 두고 경량화 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고 있다는 것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 기술 총괄은 "챗GPT는 좋은 AI를 선도적으로 선보이고 있지만, 네이버는 AI 모델을 서비스화 하는 데 자신있다"면서 "진정한 AI 에이전트가 구현되려면 각종 서비스과 연결성이 중요한데, 챗GPT나 제미나이와 비교해 네이버가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가 가장 많다"고 밝혔다. 김 대표 역시 "오픈AI나 딥시크 등 각각의 AI 기업들이 추구하는 목적이나 방향이 다르다"면서 "네이버는 AI 서비스화를 최우선 목표로 두고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글로벌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기업(CSP)들이 국내 공공 진출을 위한 필수 인증인 '클라우드 보안 인증(CSAP)'의 중·상등급 기준을 완화해야 한다는 주장에 대해 무리한 요구라는 입장도 피력했다. 

김 대표는 "클라우드도 AI와 마찬가지로 국가 운용을 위한 기본 인프라이자, 우리나라 전력망과 비슷하다"면서 "CSAP는 클라우드 보안을 위한 국가적 기준을 규정한 것이고,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보호장치"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외산 CSP들이 우리 CSAP 등급제 기준에 맞추면 되는데, (오히려) 우리의 CSAP 기준을 완화하라는 것은 도를 넘을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