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일(현지시간) 기획재정부는 한미 2+2 통상협의에서 이런 내용의 논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이날 국에서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미국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 제이미슨 그리어 무역대표(USTR)가 참석했다.
이날 협의에서 최 부총리는 미국이 부과한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에 대한 우리 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했다.
그러면서 "한국의 현재 상황을 감안할 때 차분하고 질서 있는 협의가 필요하다"고 미국 측에 설명했다.
이는 대통령 탄핵 이후 대선 정국이 시작된 만큼, 향후 새 정부 출범 시까지 중요 의제에 대한 협의를 미루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회의에 배석한 안 장관은 지속 가능하고 균형감 있는 한미 교역과 한국의 에너지 안보 제고, 미국의 조선업 재건을 위한 양국의 상호 기여 방안 등을 제안했다.
한국에 대한 상호 및 품목별 관세 조치 면제도 요청했다.
정부는 "이번 협의는 첫 번째 공식 협의로서 우호적인 분위기에서 진행됐다"며 "양국은 앞으로 실무회의와 추가적인 고위급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날 한국과 협의를 진행한 베선트 장관 역시 "매우 성공적인 양자 회의를 가졌다"며 "이르면 내주 양해에 관한 합의에 이르면서 기술적인 조건들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