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게임업계에 따르면, 시프트업은 6월 중 ‘스텔라 블레이드’ PC 버전을 선보인다. 지난해 소니 ‘플레이스테이션5’ 기반으로 독점 출시돼 큰 호응을 얻었다. PC용 출시는 1년 뒤지만 독점 콘텐츠라는 점에서 대기 수요가 상당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투자증권은 해당 게임이 출시 후 1년간 약 170만장 이상의 판매량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교보증권은 오는 연말까지 약 666억원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다.
네오위즈도 올 여름 ‘P의 거짓:서곡’을 선보인다. 이 게임은 소울라이크(고난도 액션) PC·콘솔 게임인 ‘P의 거짓’의 확장팩이다. 앞서 본편이 출시 5개월 만에 누적 이용자 700만 명을 돌파한 만큼, 흥행을 위한 기틀을 충분히 다져 놓았다. 게임 분량도 15~20시간으로 본편(30~35시간)과 크게 차이나지 않는다. 교보증권은 이 게임이 올 하반기에만 90만장의 판매고를 올릴 수 있을 것으로 봤다.
넷마블은 나혼렙 PC·콘솔 버전 출시를 북미‧유럽 지역 공략 교두보로 삼는다. 해당 지적재산(IP)의 서구권 내 높은 인지도와 게임 완성도를 결합하면 충분한 성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넥슨과 카카오게임즈는 각각 ‘아크레이더스’ ‘크로노 오디세이’를 선보이며 신작 열기를 이어받는다. 두 작품 역시 PC‧콘솔 기반이다. 아크레이더스는 PvPvE(이용자‧환경이 동시 대립하는 구도) 서바이벌 액션 장르다. 넥슨 내 서구권 공략 핵심 자회사인 ‘엠바크 스튜디오’가 제작을 맡았다.
크로노 오디세이는 카카오게임즈가 선보이는 첫 콘솔 진출작이다. 개발사인 크로노스튜디오는 벌써 2~3차례에 거친 사내 테스트를 시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대미를 장식할 대작으로는 펄어비스 ‘붉은 사막’이 꼽힌다. 붉은 사막 역시 PC‧콘솔을 기반으로 한다. 개발 기간만 약 7년에 달할 정도로 상당한 공을 들인 작품이다. 앞서 국제게임쇼 ‘게임스컴’, ‘지스타’ 등에서 시연을 진행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기도 했다. 신한투자증권은 붉은 사막 출시 후 1년간 650만장 이상 판매를 예상했다. 메리츠증권은 2027년 말까지 900만장을 판매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