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국립예술단체장 공개 오디션으로 선발한다"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절차와 일정을 개편하는 계획 등을 포함한 공연예술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문체부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이 1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절차와 일정을 개편하는 계획 등을 포함한 '공연예술 정책'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문체부]

앞으로 국립예술단체장은 공개 오디션을 통해 선발한다.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은 15일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공연예술 정책'을 발표하고 "역량 있는 사람 누구든 국립예술단체장에 지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용 차관은 “그간 국립예술기관 예술감독과 단체장 선임 과정이 공개되지 않아 이를 둘러싼 의문이 많았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한 장치를 제도적으로 만들어보자는 게 개편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문체부는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과정에 누구나 응시할 수 있는 공개 모집제도와 함께 선발 과정을 공개하는 공개 검증제도를 도입한다. 응시자는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 평가단 등에 해당 단체에 대한 중장기 비전과 운영계획을 발표해야 한다. 예술의전당, 국립정동극장,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현대무용단, 국립어린이청소년극단, 국립합창단, 국립극단 등 12개 기관이 대상이다. 대통령이 임명하는 국악원장과 국립극장장은 이번 개편에서 제외된다. 다만, 이들 두 기관에 대해서는 장관 권한 범위 내에서 개편안을 적용할 계획이다. 

용 차관은 “전문평가단은 10명 이내에서 예술단체 이사진, 전임 기관장 혹은 전임 예술감독, 직원을 대표할 노조위원장 등이 참여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언론인, 행정 전문가, 국회 여야 보좌진 등도 포함하는 안을 검토 중이다.

사전 선임제도도 도입한다. 국립예술단체장 임기 만료 약 1년 전에 후임자 선임 절차 논의를 시작해 후임자가 임기 개시 최소 6개월 전부터 미리 단체 운영을 준비할 수 있도록 한다. 용 차관은 “1년에 1~2회 통합 공고와 전형 프로세스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대선을 앞두고 개편이 이뤄지는 것과 관련해 용 차관은 “자문 과정에서 ‘개편안이 예술단체뿐 아니라 공공기관에도 적용하면 좋겠다’는 평이 많았다”며 시급성을 강조했다. 
 
한편 문체부는 올해부터 지역에 국립청년예술단을 신설해 운영한다. 국립청년예술단 신설 대상지로 부산시(국립청년연희단), 경기도 평택시(국립청년무용단), 세종특별자치시(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강원도 원주시(국립청년극단)를 선정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고궁걷기대회_기사뷰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