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트럼프 약값 인상 압박에 "의약품 보조금 제도 협상 대상 아냐"

  • "정책 설정에 대해 타협하지 않을 것"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사진AP연합뉴스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 [사진=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국 내 약값 인하를 위해 외국의 약값 인상을 압박하자 호주 정부가 의약품 보조금 제도(PBS)와 관련해 "타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1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호주 외교통상부 대변인은 이날 성명을 통해 "호주는 정책 설정에 대해 타협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해 왔다"면서 "PBS는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호주는) 항상 개방적이고 규칙에 기반한 무역을 강력히 지지해 왔다"고 강조했다.
 
호주는 제약사가 민간 시장에서 자유롭게 약값을 책정할 수 있지만, 정부는 PBS를 통해 일부 의약품 비용을 보조하고 있다.

호주 연구소(The Australia Institute)에 따르면 PBS 덕분에 미국보다 호주에서 일부 의약품의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고혈압 치료제는 호주에서 약 26달러(약 2만8000원)이지만 미국에서는 630달러(약 88만원)에 판매된다. 고지혈증제 아토르바스타틴도 호주에서 20달러에 팔리지만 미국에서는 2630달러로 약 125배 비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미국인의 약값 부담을 줄이기 위해 사실상 제약사가 해외에서 약값을 인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책을 발표하고 관련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또한 미 무역대표부(USTR)와 상무부 장관에게 다른 국가들이 의도적으로 약값을 낮춰 미국 내 가격 상승을 유발하지 못하도록 조치를 취할 것을 지시했다.
 
호주 정부의 이런 반응은 트럼프 대통령이 외국에 약값 인상을 압박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앤서니 앨버니지 총리의 노동당 정부는 저렴한 PBS 의약품 제도 수호를 공약으로 내세워왔다.
 
마크 버틀러 보건부 장관도 지난 12일 취임 성명을 통해 "우리의 과제는 명확하다. 메디케어를 강화하고, PBS를 보호하며, 노인복지에 세대적 개혁을 추진하고, 국가장애보험제도(NDIS)의 미래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