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일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수산업관측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광어와 우럭 도매 가격은 각각 ㎏당 1만9300원, 1만6125원으로 전년 대비 14.0%, 41.8% 올랐다. 본격적인 휴가철에 진입하는 이번 달에도 수온 상승으로 가격 전망은 좋지 않다. 이달 광어와 우럭 도매 가격은 지난해 대비 15%와 17.0% 오른 ㎏당 1만9000원, 1만5500원으로 전망된다.
축산물도 암울하기는 마찬가지다. 축산물품질평가원에 따르면 한우(1등급·등심) 소매 가격은 ㎏당 9361원으로 1년 새 6.5% 뛰었다. 닭고기 소매 가격도 지난해보다 5.2% 상승한 ㎏당 6160원을 기록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은 "복날 성수기 여파로 육계 가격은 당분간 오를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계란도 한 판당 7000원을 넘는 경우가 많아 지난해보다 7%가량 높은 상황이다.
폭염이 찾아오면서 채소값도 급등하고 있다. 식탁에 자주 오르는 배추(1포기)와 상추(100g)는 각각 4309원과 1217원으로 한달 사이 24.6%와 33.3% 뛰었다. 한달 새 △열무 54.9% △오이 11.3% △깻잎 8.9% 모두 오름세다. 여름철 대표 과채류도 비싸다. 수박은 1개당 2만9115원으로 전년보다 36.5% 올랐고 복숭아도 10개에 2만3097원으로 전년보다 10.3% 올랐다. 참외 가격도 10개 1만6168원으로 1년 새 15.1% 뛰었다.
외식 물가와 여행 물가가 급등한 가운데 폭염으로 먹거리 물가까지 뛰면서 휴가철 서민 경제는 더욱 어두워지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조사에 따르면 외식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3.1%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률(2.2%)을 크게 웃돌았다. 여기에 가족 단위로 많이 찾는 콘도 이용료도 1년 새 14.5% 상승하며 휴가철 서민들을 어렵게 만들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