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국,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자진사퇴 촉구…"여성들 배신, 기대할 것 없다"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레드카드를 꺼내 들었다 사진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유튜브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선 후보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레드카드를 꺼내 들었다. [사진=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유튜브]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가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했다.

권 대표는 지난 1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여성 의제 나중으로 미루는 강 후보자의 자진사퇴를 촉구한다'는 제목의 글을 게재했다.

그는 "강 후보자가 비동의 강간죄·포괄적 성교육·차별금지법·생활동반자법 등 젠더 분야 주요 정책 의제들에 대해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는 이유로 모두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뭘 하고 싶어서 장관이 되려 하는가"라고 밝혔다. 이날 청문회에 출석한 강 후보자의 발언에 권 대표가 입장을 내놓은 것이다. 

이어 "윤석열이 여성을 적으로 돌린 첫 번째 상징적인 장면은 '여성가족부 폐지' 일곱 글자였다. 여성들이 윤석열 탄핵 광장을 열어내고, 끝까지 앞장서 싸운 동력은 그런 윤석열에 대한 분노와 그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였다. 광장 여성 시민들은 이재명 정부에게 3년간 사실상 멈춰 있었던 여성가족부를 조속히 정상화하고, 개혁과제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사회적 합의' 운운한 정치인 중 그 합의를 앞장서 만들어 온 정치인은 없었다. 그것이 결국 '하지 않겠다'는 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시민들은 모르지 않는다. 비동의 강간죄와 차별금지법은 이미 해외 사례가 충분히 존재해 국제적 합의가 이뤄진 사안들"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권 대표는 "강 후보자의 태도는 여성가족부 정상화를 위해 싸워온 여성들을 배신하는 것이다. 정식 임명도 되기 전에 일부 남성들과 보수 교계 눈치부터 살피며 나중으로 미룰 일을 발표하는 장관에겐 기대할 것이 없다"며 "민주노동당은 강 후보자에 대해 갑질 논란과 거짓 해명 등을 이유로 이미 내정 철회를 요구한 바 있다. 이번 입장들로 강 후보자의 부적합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여성 의제를 나중으로 미루는 여성가족부 장관을 용납할 수 없다"고 목소리를 냈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4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 여성가족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7.14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한편 강 후보자는 보좌관 갑질 의혹 등으로 논란이 일고 있다. 
 
다음은 권 대표의 입장 전문이다.

여성 의제 나중으로 미루는 강선우 후보자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비동의 강간죄·포괄적 성교육·차별금지법·생활동반자법 등 젠더 분야 주요 정책 의제들에 대해서 '사회적 합의가 선행돼야 한다'라는 이유로 모두 유보적인 입장을 밝혔다. 강 후보자는 뭘 하고 싶어서 장관이 되려 하는가?
강 후보자는 인사청문회를 앞두고 국회에 제출한 서면 답변 자료에서 비동의 강간죄에 대해 "입증책임의 전환 우려" 등 반대 의견이 있다며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답해 입법 의지가 없음을 드러냈다. 비동의 강간죄는 21대 대선 기간 여성들이 가장 간절히 요구했던 정책 중 하나다. 지난 대선에서 비동의 강간죄를 공약한 후보를 만나 "죽지 않아도 되겠다"고 생각했다는 성폭력 피해생존자의 말이 강선우 후보자에겐 들리지 않는가?
아동·청소년 대상 포괄적 성교육에 대해서도 "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야 한다며 역시 사회적 합의의 필요성을 앞세웠다. 차별금지법과 생활동반자법 모두 대동소이한 답변을 내놨다. '사회적 합의'라는 말을 '복붙'하듯 반복했다. 딥페이크 성범죄 등 학교 현장에서 지금도 확인되고 있는 왜곡된 성 인식과 차별받는 소수자들의 고통이 강선우 후보자에겐 보이지 않는가?
윤석열이 여성을 적으로 돌린 첫 번째 상징적인 장면은 '여성가족부 폐지' 일곱 글자였다. 여성들이 윤석열 탄핵 광장을 열어내고 끝까지 앞장서 싸운 동력은 그런 윤석열에 대한 분노와 그것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지였다. 광장 여성 시민들은 이재명 정부에게 3년간 사실상 멈춰 있었던 여성가족부를 조속히 정상화하고 개혁과제를 강력하게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
'사회적 합의' 운운한 정치인 중 그 합의를 앞장서 만들어 온 정치인은 없었다. 그것이 결국 '하지 않겠다'는 말에 불과하다는 사실을 시민들은 모르지 않는다. 비동의 강간죄와 차별금지법은 이미 해외 사례가 충분히 존재하여 국제적 합의가 이뤄진 사안들이기도 하다.
강 후보자의 태도는 여성가족부 정상화를 위해 싸워온 여성들을 배신하는 것이다. 정식 임명도 되기 전에 일부 남성들과 보수 교계 눈치부터 살피며 나중으로 미룰 일을 발표하는 장관에겐 기대할 것이 없다.
민주노동당은 강선우 후보자에 대해 갑질 논란과 거짓 해명 등을 이유로 이미 내정 철회를 촉구한 바 있다. 이번 입장들로 강 후보자의 부적합성을 다시 한번 확인했다. 여성 의제를 나중으로 미루는 여성가족부 장관을 용납할 수 없다.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
2025년 7월 14일
권영국 민주노동당 대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