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 인공지능(AI) 역량을 상징할 'K-AI 대표 기업' 5곳이 결정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발표평가에 통과한 5개 정예팀으로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SK텔레콤(SKT) △NC AI △LG AI 연구원 등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이번 평가에서 정예팀의 기술력, 개발 목표와 전략, 실현 가능성, 국내 생태계에 미칠 파급 효과와 기여 계획 등을 중점 검토했다.
이 가운데 네이버는 범용성과 접근성, 업스테이지는 AI 생태계 기여, SKT는 한국형 멀티모달 서비스 구현력, NC AI는 산업 현장 특화 전략, LG AI 연구원은 국산 초거대 모델 구현 성과를 각각 인정받았다.
구체적으로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민 누구나 쓸 수 AI를 쓸 수 있도록 다양한 상황에서 잘 작동하는 '만능형 AI 모델(옴니 파운데이션 모델)' 핵심 기술을 연구하고 개발한 점을 높게 평가받았다.
업스테이지의 경우 세계 최고 수준의 AI 모델을 만들고 그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AI 산업과 연구 생태계에 기여하겠다는 점을 인정받았다.
SKT는 언어·이미지·행동 데이터를 함께 처리하는 차세대 AI 모델을 개발해 한국형 AI 서비스를 구현하겠다는 부분을 주목 받았으며, NC AI는 산업 현장에서 쓸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멀티모달 생성형 AI 모델을 개발하겠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보였다.
LG AI 연구원은 글로벌 수준의 AI 모델 '엑사원(EXAONE)'을 한국 기술로 개발한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과기정통부 측은 "5개 정예팀 모두 수준 높은 AI 모델 개발 역량을 보유한 것이 증명됐다"며 "프롬스크래치(From Scratch)부터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확보하고자 하는 소버린 AI 본질을 지향한 것으로 평가된다"고 했다.
향후 과기정통부는 5개 정예팀에 △데이터 공동 구매 △방송영상데이터 △팀별 데이터셋 구축ㆍ가공 등을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 부문 지원은 업스테이지만 신청했다. 이 프로젝트를 위해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임대해줄 공급사로 SKT와 네이버클라우드가 선정됐다. 이 기업이 포함된 팀은 올해 GPU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업스테이지, NC AI, LG AI 연구원은 GPU를 지원받는다.
과기정통부는 8월 내 5개 정예팀과 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착수식 이후 5개 정예팀에 'K-AI 모델, K-AI 기업' 명칭을 부여한다. 세부 일정과 방안은 추후 공개된다.
4개팀으로 압축하는 1차 단계평가는 오는 12월 진행될 예정이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본 프로젝트는 이제 시작이자 '모두의 AI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위해 적극 뒷받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