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상의는 25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양일간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를 개최한 모습. [사진=김정훈 기자]
"사회문제를 일으킨 곳을 규제하기보다,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에 더 많은 기회와 보상을 줘야 합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의 이 발언과 함께 국내 최대 사회적가치 축제인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가 25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했다.
대한상의는 이날부터 26일까지 양일간 ‘제2회 대한민국 사회적가치 페스타’를 열었다. 행사는 대한상의와 SOVAC·SK텔레콤, 현대해상, 카카오임팩트, KOICA 등 9개 기관이 공동 주최했고 국무조정실,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등이 후원했다.
최 회장은 개회사에서 "사회적가치 페스타는 단순한 대화의 장이 아니라 기업이 사회적 가치의 본질을 체감하고 시민사회와 함께 해법을 찾는 학습의 장"이라며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상의 전환과 함께 구조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성과를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보상하는 제도가 마련돼야 지속가능한 변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알라 무라비트 UN 고위 임원은 축사에서 "지속가능한 미래는 자선이 아니라 실질적 변화의 선택에서 비롯된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기다리지 않는 용기와 책임 있는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메인 세션인 '리더스 서밋'에서는 사회문제 해결 성과관리와 글로벌 동향을 주제로 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신현상 한양대 교수는 "사회적가치를 측정해 인센티브 체계를 구축하면 사회문제 해결과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케다 마사토 일본 소프트뱅크 CSR 본부장은 경제·환경·사회 3개 범주, 14개 항목을 정량화해 화폐가치로 환산하는 자사 측정 체계를 소개했다. 크리스티안 헬러 VBA CEO는 "회원사들이 지난 5년간 VBA 체계를 기반으로 성과를 측정해 실제 경영 의사결정에 반영해왔다"고 전했다.
전시는 '스토리 로드(Story Road)' 콘셉트로 꾸며졌다. 협력·미래세대·혁신·기후환경 네 갈래 길을 따라 다양한 사례가 전시됐다. 메타버스 기반 정신건강 상담 '메타포레스트', 청각장애인용 AI 문자통역, 전동 휠체어 키트, VR 장애인 훈련 프로그램 등이 관심을 모았다. LG화학의 청소년 환경교육 ‘라이크 그린’, 현대해상의 아동 정서 지원 ‘아이마음 프로젝트’ 등 민관의 사회적 가치 실현 사례도 소개됐다.
대한상의는 행사 전반에 친환경 운영을 도입했다. 부스는 재활용이 쉬운 종이가구와 허니콤보드로 제작했고, 일부 전력은 재생에너지로 충당했다. 안내 자료는 종이 대신 QR코드 기반 디지털 방식으로 제공했다.
박일준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사회적가치 페스타는 기술과 파트너십, 공감과 실행을 모으는 열린 플랫폼"이라며 "기업·정부·시민이 함께 만들어가는 변화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앞당기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