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남도와 15개 시군이 스마트팜 253만평 조성과 소형 폐가전 무상배출 제도 확대를 앞세워 도정 핵심과제인 ‘농업·농촌 구조개혁’과 ‘2045 탄소중립 실현’ 추진에 속도를 낸다.
도는 27일 논산시청에서 ‘2025년 제4회 도·시군 정책현안 조정회의’를 열고, 농업혁신·탄소중립 관련 주요 현안과 민생안정 대책을 집중 점검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박정주 행정부지사와 도 실·국장, 15개 시군 부단체장 등 40여 명이 참석했다.
도와 시군은 내년 상반기까지 공공형 429만 ㎡, 자립형 406만 ㎡ 등 총 836만 ㎡(253만평) 규모의 스마트팜 단지를 조성한다. 이를 위해 미확보 부지에 대한 대체부지 신속 발굴과 인허가 절차 간소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기로 했다.
이날 도는 이(E)-순환거버넌스와 폐가전제품 재활용 촉진 협약을 체결했다. 그동안 5개 이상 모아야만 무상 배출이 가능했던 소형 가전제품도 이르면 9월부터 공동·단독주택 단지 내 수거함에 간편하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는 △추석연휴(9월 22일~10월 9일) 민생안정 대책 △충남형 실버홈 공모 △소비촉진 행사 △도민의 날(9월 20일) 홍보 등 23건의 협조사항을 시군과 공유했다.
시군은 △지방하천 개선복구 △국도·국지도 건설계획 반영 △백제문화제·계룡군문화축제·금산세계인삼축제 등 가을 대표축제 홍보 및 지원 건의 21건을 제안했다.
회의 후 참석자들은 11월 개원 예정인 논산공공산후조리원과 2027 논산세계딸기산업엑스포 예정지를 방문해 진행 상황을 점검했다.
박정주 행정부지사는 “회의에서 논의된 안건들이 신속히 실행돼 농업혁신과 탄소중립이 현장에서 가시적 성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시군과 협력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