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부산시의회]](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5/08/29/20250829151927251408.png)
부산이 국제금융도시를 표방한 지 오래지만, 여전히 ‘간판만 남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실질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부산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정태숙 의원(국민의힘, 남구2)은 제331회 임시회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에서 부산이 최근 20위권으로 반등했지만 서울과 격차는 여전하고, 금융·보험업의 지역내총생산(GRDP) 비중은 줄어들고 있다”며 “금융중심지로서의 명분만 있고 내실은 부족하다는 평가를 외면할 수 없다”고 말했다.
정 의원은 특히 올해 하반기 준공을 앞둔 국제금융센터(BIFC) 3단계의 입주 불확실성을 문제로 꼽았다.
전체 18개 층 가운데 BNK금융그룹이 4개 층을 계약했을 뿐 나머지는 협의 단계에 머물러 있다는 것.
그는 “기업 유치를 가로막는 가장 큰 걸림돌은 BIFC 권역의 낮은 정주 여건”이라며 “주변 인프라 부족이 금융도시 위상 회복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 가지 대책을 제안했다. 우선 부산시 직속의 ‘금융·경제 통합 기획조직’을 신설해 금융중심지 전략을 총괄하는 전담기구를 두고, 민간 전문가 자문단과 함께 기업 유치·정주 인프라 확충·물류 전략까지 포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부산만의 특화된 금융 인센티브 도입이 필요하다며 “일반 기업에는 최대 10년, 글로벌 금융사에는 조건부 최대 20년 세제 감면, 고분양가 부담 해소를 위한 재정지원, 임차 기업에는 최대 50% 임대료 보조와 같은 파격적 지원책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 규제 샌드박스 확대, 외국계 금융사 임직원 자녀의 국제학교 우선 입학권 부여 등 글로벌 수준의 인센티브 패키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그는 BIFC 일대의 생활환경 개선을 지목하며 “의료·돌봄·교육 인프라 강화, 외국인 금융인력 전용 주거타운 조성, 아파트 재개발 활성화가 정주 매력을 높이는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정 의원은 “결국 중요한 것은 간판이 아니라 사람이 살고 싶은 도시, 기업과 인재가 머물고 싶은 도시를 만드는 것”이라며 “시민이 체감하는 변화가 곧 부산의 금융도시 미래를 결정할 것”이라고 발언을 마무리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