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 직면한 '트럼프노믹스'... 미 고용 급둔화 속 일부 관세 인하 시사

  • 트럼프, 상호관세 최대 0%까지 낮추는 행정명령에 서명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사진UPI·연합뉴스
트럼프 대통령 행정명령 서명 [사진=UPI·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미국 경기 둔화 우려도 날로 커지는 양상이다. 이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특정 품목에 대해 상호관세를 최대 0%까지 낮출 수 있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일부 관세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앞서 지난 5일(현지시간) 미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8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2만2000명으로 시장 예상치(약 7만5000명)에 크게 못 미쳤다. 특히 제조·광업·도매 등에서 일자리가 줄었다. 이는 7월 7만9000명 증가보다 5만7000명 적은 수치다. 이에 지난 7월 '고용 쇼크'에 이은 고용 지표 부진으로 미국 경제 전망에 빨간불이 켜졌다.

앞서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 역시 지난달 잭슨홀 심포지엄에서 트럼프발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위험이 상존함에도 불구하고 미국 고용 환경 악화에 대응하기 위해 금리 인하 가능성을 시사한 바 있다. 이에 금리 선물 시장에 반영된 미국 기준금리 전망을 추적하는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은 100%에 달한다. 심지어는 한 번에 금리를 50bp(1bp=0.01%포인트)나 인하하는 빅 컷 가능성도 11%나 된다. 

이 같은 고용 부진과 관련해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를 비롯해 감세, 이민자 정책 및 금리 인하를 위한 연준 개입 등 주요 정책들이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기업의 채용과 투자를 주저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 일례로 트럼프 대통령의 대표적 관세 조치인 상호관세는 지난달 29일 연방 항소법원에서도 무효 판결을 받은 가운데 대법원에서 그 운명이 가려지게 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승리를 자신하며 지난주 대법원에 상고장을 제출했지만 실제 결과는 어떻게 나올지 불확실한 상황이다.

미국 경제 분석 기관 인플레이션 인사이트의 오메어 샤리프 연구원은 "무역 정책 불확실성, 전체적으로는 정책 불확실성이 고용 감축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것들이 조만간 해결될 지는 불확실하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에 말했다.

매기 하산 뉴햄프셔주 민주당 상원의원 역시 “비용은 계속 오르고 미국 제조업은 위축됐다”며 “경제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기업들은 투자해야 할지, 아니면 신규 인력을 채용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5일 각국을 상대로 발표한 상호관세율과 관련해 조건에 맞는 일부 품목은 0%까지 관세율을 낮출 수 있다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일부 관세 인하 가능성도 시사했다. 대상 품목은 '미국에서 재배·채굴 및 자연생산이 불가능하거나 국내 수요를 충족하는 데 불충분한 제품'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흑연, 텅스텐, 우라늄, 금괴 등 주요 광물을 비롯해 특정 농산물, 항공기 및 항공기 부품, 비특허 의약품 등이 이에 포함된다고 전했다. 해당 조치는 8일부터 적용될 예정이다. 
 
2012년 대선 당시 미트 롬니 공화당 대선 후보의 선임 참모를 맡기도 했던 첸 란히 스탠퍼드대 미국 정책 연구소장은 "트럼프는 (내년) 중간선거를 앞두고 경제에 대한 대중의 인식에 프레임이 형성되기 전에 자신이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몇 달 더 있다"며 공화당의 승리 여부는 트럼프 행정부가 긍정적 경제  구상을 제시할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