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의 AI드라이브…판교와 상하이를 잇다

  • 중국 최대 기업 텐센트에 경기도 AI기업 연결

25일 오전 상하이 텐센트 지사를 방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 AI 리더스 동행기업이 텐센트 관계자의 안내를 받아 전시관 관람을 하고있다 사진경기도
25일 오전 상하이 텐센트 지사를 방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 AI 리더스 동행기업이 텐센트 관계자의 안내를 받아 전시관 관람을 하고있다. [사진=경기도]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25일 중국 상하이에 위치한 텐센트 지사를 찾아 경기도 AI산업의 중심지인 판교 클러스터를 대표하는 주요 기업인들과 동행해 협력 가능성을 모색했다.

김동연 지사는 "경기도 기업에 더 많은 비즈니스 기회를 열어주기 위해 함께 텐센트를 방문했다"며 "경기도 기업과 텐센트 간 활발한 교류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텐센트는 중국의 대표 IT기업으로 ‘국민 메신저’ 위챗(WeChat)과 QQ메신저, 결제서비스 위챗페이를 운영한다. 소셜미디어, 핀테크, 게임, 온라인 광고 등 사업 영역은 ‘구글+카카오+넷플릭스’를 합친 수준으로 평가된다.

25일 오전 상하이 텐센트 지사를 방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 AI 리더스 동행기업이 텐센트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사진경기도
25일 오전 상하이 텐센트 지사를 방문한 김동연 경기도지사, 경기도 AI 리더스 동행기업이 텐센트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있다. [사진=경기도]

세계 35개국에 지사를 두고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070조원(7639억 달러)으로 세계 14위, 중국 1위를 기록한다. 한국 카카오의 2대 주주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모든 사업 분야에 AI를 접목하는 ‘AI IN ALL’ 전략을 추진 중이다.

이날 방문에는 NHN클라우드, 메가존 클라우드, 한글과컴퓨터, 에이아이웍스, 하이퍼놀로지, 이니텍 등 경기도의 대표적 AI·클라우드 기업 관계자들이 함께했다.

텐센트는 이날 AIA(AI IN ALL) 전략을 포함한 주요 사업 현황을 설명했고, 동행 기업들과 기술 협력 가능성에 대해 심도 있는 문답을 이어갔다. 당초 일정을 넘길 만큼 열띤 논의가 진행됐으며 일부 기업은 개별 미팅까지 성사시키는 성과를 거뒀다.

김동연 지사는 "새로 출범한 국민주권 정부는 AI 3대강국을 목표로 설정했다"면서 "대한민국에서 최초로 ‘AI국’을 만든 경기도는 AI강국으로 가는 길에 가장 앞장서서 견인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