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킹 시도 6만건 육박…기재부·국세청 등 재정기관 보안 '비상'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세종시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기획재정부.[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ajunews.com]


통신사와 카드사를 잇따라 공격한 대규모 정보유출 사태와 더불어 정부 재정 관련 기관을 겨냥한 해킹 시도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과세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를 다루는 기관들이 해킹 공격의 주요 표적이 되고 있다는 우려가 커진다. 

7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기획재정부와 산하기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1~2025년 8월) 기재부 및 국세청, 관세청, 조달청, 통계청, 한국재정정보원을 대상으로 탐지된 해킹 시도 건수는 총 6만566건에 달했다.

기관별로는 국세청(2만3356건)이 전체의 38.5%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고, 통계청(1만8400건), 조달청(1만408건), 관세청(6013건), 기획재정부(1259건), 한국재정정보원(1130건)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지난해와 올해 들어 해킹 시도가 급증한 점이 눈에 띈다. 6개 기관 전체의 해킹 시도는 2023년 대비 2024년에 1.8배 늘었으며, 한국재정정보원(6.2배)과 관세청(5.7배)의 증가 폭이 두드러졌다. 국세청도 올해 8월까지 6539건으로 전년(4688건)보다 2000건 가까이 늘었다.

해킹 시도는 국내(1만4488건)보다 국외(4만6078건)에서 압도적으로 많았다. 특히 미국을 비롯한 해외 IP를 통한 공격이 급증하며 국가 간 해킹 시도 양상이 갈수록 조직화·지능화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다행히 현재까지 6개 기관 모두 실제 시스템 침투나 데이터 유출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보고됐다. 하지만 국가 재정 데이터는 물론 개별 납세자의 세금정보까지 다루는 기관 특성상, 단 한 차례의 침해도 치명적인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커진다. 

김영진 의원은 “최근 KT·롯데카드 등 민간기업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이어지는 가운데, 과세정보를 보유한 정부기관이 해킹범죄의 표적이 될 가능성도 매우 높다”며 “급증하는 해킹 시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보안 예산과 전문 인력을 대폭 확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2025 서울한강 어텀워크 - 기사뷰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