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될 수 있다고 거듭 밝힌 가운데, 외교부는 "현재 구체적인 진전에 대해 알고 있는 것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외교부 당국자는 16일 "우리 정부는 북미 대화를 지지하며, 필요시 적극 지원한다는 입장"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정동영 장관은 전날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결심한다면 APEC(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 계기에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며 성사될 경우 장소는 판문점 '북쪽'이 유력하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그는 "우리가 포착한 징후와 현재 공개된 정보와 자료를 바탕으로 이러한 판단을 내린 것"이라며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안에 김정은을 만나겠다고 공언했는데, 그의 성정상 APEC 참석이라는 기회를 놓치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북·미 정상회담에서 우리 정부의 역할에 대해선 "북쪽에서 이뤄진다면 한국 대통령은 동행하지 않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김정은은 남쪽을 상대하지 않겠다고 한 만큼 일단 북·미 정상회담이 선행돼 공간을 만들어두는 것이 우선"이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이날 통일부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 최근 백악관이 전제 조건 없는 북·미 대화에 열려 있다고 재확인한 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달 최고인민회의에서 '미국이 비핵화 집념을 털어버리고 현실을 인정한다면 우리도 미국과 마주 서지 못할 이유가 없다'고 발언한 점 등을 들어 관련 분석이 나오는 배경을 설명했다.
또 지난 2019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판문점 깜짝 회동한 사례를 거론하며 "불과 그 하루 전날 트위터에 날림으로써 32시간 만에 면담이 성사됐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 등 여러 가지를 고려해 바탕으로 말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