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군이 미국·우크라이나 정상회담을 하루 앞두고 우크라이나를 대규모 공습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엑스(X·구 트위터)를 통해 "지난 밤 러시아가 300대 넘는 공격용 드론과 미사일 37발을 발사했다"며 빈니차·수미·폴타바 지역 인프라가 공격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러시아군이 집속탄을 장착한 샤헤드 드론으로 공습한 뒤 시설을 복구하는 소방관 등을 재차 공격하는 이중 테러를 자행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현지매체는 하르키우·이지움·크로피우니츠키 등지에서도 폭발이 발생했다고 전했다. 이날 오전 5시20분께 러시아 비행장 여러 곳에서 미그(MiG)-31 전투기가 이륙하며 공습이 시작됐다. 이날 새벽 공습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에게 "우크라이나인과 러시아인 살상을 멈추라"고 경고한 지 몇 시간 만에 이뤄진 것이다.
젤렌스키 대통령은 17일 미국을 찾아 트럼프 대통령과 최장 사거리 2500㎞짜리 토마호크 미사일을 비롯한 장거리 무기와 방공망 지원을 논의할 계획이다. 이에 러시아는 트럼프가 토마호크 지원 가능성을 시사하자 "러·미 양국 관계가 돌이킬 수 없이 손상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 수도 모스크바와 제2의 도시 상트페테르부르크가 사정권에 들어가는 토마호크 미사일을 확보할 경우 러시아를 협상 테이블로 나오도록 압박할 수 있다고 기대한다. 다만 미국이 실제로 토마호크 미사일을 넘기면 발사대와 운용 인력 등 미군 추가 지원이 뒤따라 확전을 불러올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