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광역시는 옛 캠프 워커 헬기장 반환 부지인 대구 남구 중앙대로22길 26에 조성 중인 ‘대구도서관’ 개관을 앞두고 막바지 준비에 한창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는 오는 24일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내달 5일 정식 개관한다.
대구도서관은 2014년 기본계획 수립 이후 약 10년 간 추진된 주민 숙원사업으로, 총 부지 면적 9639㎡에 연면적 1만 5075㎡(약 4560평),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로 건립된다. 앞으로 대구의 대표 도서관으로서, 시민 누구나 지식과 문화를 향유하고 소통하는 공간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이는 단순한 자료 열람 공간을 넘어 배움과 쉼, 교류가 어우러진 복합 문화시설로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1층에는 어린이 자료실, 전시실, 카페가 있어 가족 단위 방문객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어 2층에는 일반 자료실과 디지털 자료실, 3층에는 인문 예술 자료실과 청소년 공간, 4층에는 강당, 문화강좌실, 책 뜨락(하늘공원) 등 평생학습과 문화 활동 공간이 조성된다.
특히 총 6개 자료실 중 1층 어린이 자료실에는 콜더컷·뉴베리 등 세계적 아동문학상 수상 도서와 유아용 입체 도서 등을 비치해 특화 공간으로 꾸몄으며, 2층 디지털 자료실은 최신 PC, AV 시설, 태블릿 대출 반납기 등 ICT 기반 정보 접근 서비스를 갖췄다. 3층 청소년 공간은 청소년들이 다양한 경험을 쌓고 편안히 쉴 수 있는 맞춤형 쉼터로 구성했다.
또한 대구도서관은 AI 로봇 안내, RFID 기반 자동 대출·반납, 도서 무인 분류 시스템(시간 당 1800권 처리), 차량 이용 24시간 북 드라이브스루, 무인 예약시스템, 스마트 도서 추천 등 첨단 ICT 기술을 적극 도입해 편리하고 스마트한 도서관 환경을 구현했다. 전국 최초로 광역상호대차서비스인 ‘책두루서비스’도 준비 중이다.
대구시는 오는 24일부터 내달 5일까지 시범 운영 기간을 통해 자료실 이용, 시설 운영, 도서 서비스 등 전반적인 운영 체계를 점검하고, 시민들의 불편 사항을 보완해 안전과 편의를 높일 계획이다.
운영 시간은 도서관 휴관일인 월요일을 제외하고,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주말은 오후 5시까지이며, 자료실과 전시 공간을 포함한 모든 층을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다만, 도서 대출·반납 서비스는 11월 5일 정식 개관 후부터 제공한다.
권현주 대구도서관장은 “대구도서관은 단순히 책을 빌리는 곳이 아니라 시민 누구나 지식과 문화를 향유하고 공유하는 열린 문화 플랫폼이다”며 “완성도 높은 지식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개관 준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