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이스라엘 총리실은 이날 늦게 "사망 인질 시신 2구가 추가로 송환됐다"고 밝혔다. 하마스는 이들 시신에 번호만 표시한 채 인도했으며, 이스라엘은 곧바로 신원 확인 절차에 착수했다.
하마스는 휴전 발효 직후 생존 인질 20명을 모두 석방했으나, 사망 인질 28구 가운데 초기에 4구만 돌려보내 논란을 빚었다. 이날 추가 송환된 시신을 포함하면, 현재 이스라엘로 돌아온 사망 인질은 총 12명에 불과하다.
이에 이스라엘은 협정 1단계 핵심 조항 중 하나인 인질 송환 문제와 관련해, 하마스가 사망 인질의 시신을 즉각 인도하지 않고 있다며 불만을 제기하고 있다.
라파 검문소는 가자지구 주민들이 이스라엘을 거치지 않고 외부로 나갈 수 있는 사실상 유일한 통로다. 이스라엘은 전쟁 발발 이후 1년 5개월 넘게 해당 지역을 통제하고 있다.
이스라엘 총리실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는 라파 국경 검문소가 추후 공지가 있을 때까지 열리지 않을 것이라고 지시했다"며 "검문소 개방은 하마스가 사망 인질 송환 등 합의 사항을 이행하는지에 따라 검토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의 비판에도 불구하고 라파 검문소를 통한 인도적 지원물자 반입 속도를 조절하며, 하마스가 남은 인질 시신을 조속히 넘기도록 압박하고 있다.
한편, 이스라엘이 휴전 협정 이후에도 가자지구에서 무력을 사용하면서 이에 대한 하마스의 반발도 거세다.
가자지구 공보국은 이날 성명을 통해 "이스라엘 점령군은 전쟁 종식 선언 이후 반복적으로 심각한 위반 행위를 저질렀다"며 "현재까지 기록된 것만 47건에 달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휴전 이후 38명이 사망하고 143명이 부상했다고 주장했다.
특히 이스라엘군은 지난 17일 가자지구에서 자국 통제 구역을 표시하는 황색선을 넘어 경고 사격을 무시한 차량에 사격을 가했다. 이에 대해 하마스는 피격된 차량에는 귀가 중이던 민간인이 타고 있었으며, 이 공격으로 두 가족과 여러 명의 어린이가 숨졌다고 밝혔다.
이런 가운데 하마스도 무장 해제 문제에 명확한 답을 내놓지 않으며, 휴전 2단계 이행이 난항을 예고하고 있다.
하마스 정치국 위원 무함마드 나잘은 전날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무장 해제를 '예' 또는 '아니오'로 단정할 수 없다"며 "무장 해제 문제는 하마스만이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네타냐후 총리는 이스라엘 현지 방송 채널 14에 출연해 "그런 일이 일어나도 어렵겠지만, 그것(하마스 무장해제)이 성공적으로 완료돼야 전쟁이 끝날 것"이라고 밝혔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 협정 이행 신경전에 대해 "이러한 사건들이 휴전 협정을 완전히 붕괴시킬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다"면서도 "양측 간 깊은 신뢰 부족으로 1단계 협정보다 복잡한 2단계 협정을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더 많은 어려움에 부딪힐 수 있다"고 진단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