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27일 대한체육회를 비롯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체육단체에 대한 국정감사에 나섰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는 27일 대한체육회를 비롯한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체육단체를 대상으로 국정감사를 진행했다. 이날 감사에서는 최근 전북도의 '2036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추진'이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
정연욱 국민의힘 의원은 "전북도가 전주하계올림픽 유치와 관련해 사전 타당성 조사 기간을 연기하면서 국민 사이에서 불만과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북도에 유치 신청 변경 계획서를 제출해달라고 요청했지만, '없다'는 답변이 왔다"고 전했다.
국감에 참석한 유승민 대한체육회 회장은 "IOC 첫 번째 회의에서 지적 사항이 나왔다. (유치와 관련해) 부적격 판정을 받은 게 아니다. 우리의 계획안을 들어본 후 '이렇게 했으면 좋겠다'는 조언을 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IOC가 개최지 선정 방식을 미래 지속 발전 가능한 모델로 바꿨다. 따라서 개최 연도를 특정할 수는 없다. 지난 6월 커티스 코번트리 신임 IOC 위원장이 들어오고 나서 올림픽 유치 도시 신청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해서 중단된 상황이다. 대한체육회가 발을 뺀 게 아니고, 실무선에서 논의하고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개최 연도에 대해선 "2036년은 내부적인 목표다. 정확하게 2036년을 특정한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배현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명 대통령의 전북 특별자치도 지역 후보 공약에 들어간 전북 올림픽 개최가 123대 국정과제에서는 제외됐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최성희 문체부 체육협력관은 "정부 승인이 된 이후 국정과제로 들어갈 수 있는데 전북의 구체적인 계획을 받아보지 못했다"며 "그 단계까지 나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배 의원은 특히 IOC가 부정적인 견해를 밝힌 '아홉 광역단체 분산 개최안'을 전북도가 고집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대한체육회 보고에 따르면 IOC는 "이렇게 분산돼 있으면 선수들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할 수 없다"며 전북도에 반대 의사를 전달했다. 하지만 전북도는 "IOC가 크게 언급하지 않았다"고 보고한 것으로 드러났다.
유 회장은 "전북도가 제안한 개최 도시는 일곱 개가 넘는다. 올림픽 역사상 일곱 개 도시까지는 올림픽을 분산 개최한 적은 없는 걸로 알고 있다"면서 "이전 올림픽을 이뤄봤을 때 분산이 조금 과하다"라고 답했다.
배 의원은 개최 준비 부족도 문제 삼았다. 그는 "전북도가 제출한 계획서에 따르면 올림픽 기간 필요한 숙박용 객실은 118만 개이지만, 2036년 기준 전북 지역의 숙박 수용률은 6%에 불과한 것으로 전망됐다"면서 "전북도는 대회를 분산 개최하겠다는 계획으로 국내 유치 후보지로 선정됐지만, 실질적으로 이를 이행할 능력은 아직 하나도 구축하지 못한 상태"라고 비판했다.
배 의원은 또 "이번 사태의 근본 원인은 대한체육회의 부실한 도시 선정 절차에 있다"며 "올림픽은 유치전에만 수백억이 투입되는 국가 프로젝트다. 전북이 잘 준비될 수 있도록 문체부와 대한체육회가 계획을 전면 재검토하고, IOC 기준에 맞는 수정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