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문을 연 ‘서울시 마약관리센터’는 마약 사용자에 대한 낙인이 아닌 조기 발견과 치료에 초점을 맞춘 통합형 병원이다. 전문 의료진의 상담과 검사는 물론 입원, 재활, 사후관리까지 이어지는 연속적 치료체계를 구축해 단약은 물론 건강한 사회복귀를 돕는 것이 핵심이다.
‘서울시 마약관리센터’에는 마약 치료 37년 경력의 조성남 센터장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2명과 정신건강 사회복지사, 정신건강 임상심리사, 정신건강 직업치료사, 정신건강 간호사, 병동보호사 등 총 34명의 전문 인력이 상주한다.
총 575평 규모로 마약류 중독을 한 곳에서 치료, 재활할 수 있도록 병동부와 외래부를 분리하고, 남녀별 폐쇄병동을 운영해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했다. 특히 외래부는 상담실과 재활치료실 등 환자의 정서적 안정을 고려한 치유 중심의 공간으로 디자인했다는 설명이다.
청소년, 여성 등 대상별 클리닉 운영과 개인 맞춤형 프로그램으로 치료 효과도 높였다. 우선 청소년 대상 클리닉에서는 중독 원인과 이차적 문제를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한다. 또 투약 경로와 사용 약물 특성에 따른 맞춤형 교육·치료·재활 프로그램을 통해 반복적인 사용을 막는다.
여성 대상 클리닉은 성범죄 피해나 트라우마 등 이중 진단 사례가 많은 점을 고려, 심리지원과 의료지원이 결합된 치료와 재활 프로그램을 병행한다. 이 외에도 갈망과 금단이 심한 환자는 병동 내에서 해독을 진행하는 등 중독 심각도에 따라 개인에 맞는 치료 프로그램을 설계, 제공한다.
센터에서는 중독 치료는 물론 안전한 사회 복귀와 지속적인 단약을 지원하는 ‘중독상담실’도 운영한다. 특히 회복 경험이 있는 ‘회복지원가(Recovery Coach)’가 함께 참여해 환자와 유대감을 형성하고 꾸준한 재활을 독려할 예정이다.
박유미 서울시 은평병원장은 “마약 문제는 더 이상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전체의 심각한 문제”라며, “서울시 마약관리센터를 통해 치료받지 못하는 중독자가 없도록 하고, 끊김 없는 치료·재활 지원으로 단약 성공률을 높여 건강한 사회 복귀를 돕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르포] 중력 6배에 짓눌려 기절 직전…전투기 조종사 비행환경 적응훈련(영상)](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24/02/29/20240229181518601151_258_16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