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소문빌딩 재개발 착공…강북권 최초 '클래식 공연장' 들어선다

  • 서울 전역 도시정비형 재개발 '녹지생태도심' 전략...도심 서측 문화 랜드마크 조성

오세훈 서울시장이 5일 중구 순화동 일대에서 열린 녹지생태도심 선도사업 서소문빌딩 재개발사업 착공식에서 시삽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오세훈 서울시장이 5일 중구 순화동 일대에서 열린 녹지생태도심 선도사업 서소문빌딩 재개발사업 착공식에서 시삽하고 있다. [사진=서울시]
오는 2030년 서소문로에 서울광장 1.3배에 이르는 대규모 녹지가 조성되고 강북권 최초 ‘클래식 전문 공연장’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5일 ‘녹지생태도심 선도 사업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 착공식’을 갖고, 지난 3년간 서소문 일대 3개 지구 재개발과 함께 추진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 성과를 발표했다.

착공식에는 오세훈 서울시장, 김인제 서울시의회 부의장, 김길성 중구청장, 삼성생명 대표이사 등 사업 관계자, 지역 주민 등 150여명이 참석했다.

시는 그동안 녹지생태도심의 일환으로 흩어져 있던 개별지구 녹지가 '하나의 정원'으로 실현될 수 있도록 도심 녹지공간 통합조성계획을 추진했다.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의 녹지형 개방 공간(보행로 포함)을 당초 8010㎡에서 226% 늘어난 1만8140㎡까지 확보했다.

현재 서소문 일대를 비롯해 양동구역(서울역 앞), 수표구역(을지로3가 일대) 등 총 36개 지구에서 '녹지생태도심 재창조 전략'이 적용된 정비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사업이 모두 완료되면 서울광장의 약 8배(10만㎡)에 이르는 대규모 민간 녹지가 확충된다.

서소문빌딩 재개발 사업(서울역-서대문 1·2구역 1지구)은 중구 순화동 7번지 일대에 지하 8층~지상 38층 업무·문화 복합시설을 조성하는 도시정비형 재개발로, 2030년 6월 준공을 목표로 추진된다.

재개발이 완료되면 서소문 일대는 문화와 녹지를 품은 대규모 혁신 업무지구로 재탄생할 것으로 보인다. 서소문빌딩 오피스 면적은 당초 대비 약 3.5배, 수용 인원은 3배 가량 늘어날 전망이다.

강북권 최초 '클래식 전문 공연장'도 들어선다. 1980년대 개관 이래 음악·무용 등 공연 문화를 선도해 왔던 호암아트홀은 1100석 규모 클래식 공연장으로 거듭나 도심 서측의 랜드마크로 자리매김할 전망이다.

오 시장은 "오늘 착공은 단순한 개발사업이 아니라 서울이 녹색도시로 다시 태어나는 도심 전환의 출발점"이라며 "규제 완화와 인센티브로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녹지를 확보하는 새로운 재창조 모델 '녹지생태도심' 전략을 통해 서울 전역을 녹색 네트워크로 연결하고 글로벌 녹색도시로 발돋움시키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