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준호 도의원 "구 파주 영어마을…파주 체류형 관광의 출발점 만들겠다"

  • 파주 통일동산, 한류·DMZ 복합 관광거점으로 재탄생

  • 당일로 오고 떠나는 파주 끝… 소비·숙박 연계 시작

사진경기도의회
[사진=경기도의회]
경기도의회 고준호 의원(국민의힘·파주1)은 지난 19일 파주시 통일동산지구 내 경기미래교육파주캠퍼스(구 파주 영어마을)를 방문했다 

이날은 경기도 요청에 따라 파주시가 경기미래교육파주캠퍼스의 도시관리계획을 변경해 시설 용도에 관광숙박시설을 추가하는 내용을 고시한 날로, 고 의원은 현장 방문을 통해 향후 활용 방향을 직접 점검했다.

고 의원은 "이번 고시로 통일동산지구가 한류·DMZ 관광과 연계된 체류형 관광 거점으로 나아갈 제도적 기반이 만들어졌다"며 "그동안 교실·강의실 중심의 교육공간에 머물렀던 캠퍼스에 숙박 기능이 더해지면서, 파주의 고질적 문제였던 ‘당일 방문 후 이탈’ 구조를 바꿀 첫 단추가 꿰어졌다"고 평가했다.

이어 "파주시 안에 있는 경기도 자산을 어떻게 파주경제의 엔진으로 바꿀지 계속 고민해 왔는데, 그 결실이 이번 통일동산 용도 변경처럼 하나둘 눈에 보이는 성과로 나타나기 시작했다"며 "이번 조치는 통일동산지구 재도약의 분기점이자 파주시가 진정한 체류형 관광을 시작하는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토대로 경기도는 2025년부터 총 26억원 규모의 ‘한류문화 체험시설 조성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대강당 음향·영상 시스템 개선, 전시·체험공간 방수·누수 보수, 숙박시설 3개 동 개·보수 등이 포함된다. 설계는 2025년 말까지 마무리하고, 2026년 2월부터 5월까지 공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고 의원은 "그동안 파주는 숙박 인프라가 부족해 외국인 관광객이 입국 첫날이나 출국 마지막 날 잠깐 들렀다가 떠나는 도시였다"며 "이번 용도 변경과 리모델링으로 약 80명이 숙박 가능한 시설이 새로 열리고, 이미 운영 중인 캠프그리브스와 더불어 파주에도 제대로 된 숙박 거점이 두 축으로 서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숙박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왜 이곳에 머물고 어디에서 소비할지까지 동선을 함께 설계해 ‘머무는 파주·소비가 일어나는 파주’를 만들겠다"고 덧붙였다.
사진경기도의회
[사진=경기도의회]
이날 현장 간담회에서는 노후 숙박동 개·보수 기본 및 실시설계 보고와 함께 체류형 관광 모델 설계에 대한 실무 논의도 이뤄졌다. 

고 의원은 경기관광공사 측에 캠프그리브스에서 쌓은 숙박 운영 노하우를 통일동산에 접목하고, DMZ 관광과 DMZ 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전야제 등을 연계한 숙박·관광 상품을 개발할 것을 제안하며 "통일동산이 파주 체류형 관광의 실질적인 거점이 되도록 경기도와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고 의원은 앞서 지난 13일 파주 임진각 일대에서 열린 ‘DMZ OPEN 평화마라톤’을 계기로 평화협력국 DMZ정책과와 행사 참여 인구가 실제 파주에서 소비하도록 유도하는 구조를 제안했고, 현재 파주페이 지급, 전통시장·관광지 할인쿠폰, 지역 식당·카페 연계 프로그램 등 현장 소비 중심 모델이 실무 검토 단계에 들어가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DMZ 행사에서 유입되는 대규모 인구를 체류와 소비로 연결하고, 통일동산과 숙박시설·상권을 하나의 동선으로 묶는 작업은 이미 시작됐다"며 "경기도가 가진 자산과 경기도가 주관하는 행사를 파주 발전의 축으로 연결하려는 고민의 결실이 하나둘씩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고 의원은 "이제는 산업단지 중심에서 문화·콘텐츠·관광이 지역경제를 이끄는 시대로 이미 넘어가고 있다"며 "DMZ, 임진강, 통일동산을 가진 파주는 그 변화를 가장 빠르게 실현할 수 있는 도시인 만큼, 경기도 자산을 파주발전의 견인차로 바꾸는 노력을 멈추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현장 간담회에는 고준호·이인애 경기도의원을 비롯해 조현석 경기도 미래교육팀장, 황현권 주무관, 김재훈 경기미래교육 파주본부장, 여광용 행정팀장, 이지용 교육팀장, 김용완 경기관광공사 DMZ운영팀장이 참석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