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군, 제155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 거행...학사장교 168명 탄생

 
사진공군
24일 경남 진주 공군 교육사령부 대연병장에서 제155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을 거행했다. [사진=공군]
 
공군은 24일 공군교육사령부 대연병장에서 제155기 공군 학사사관후보생 임관식을 거행했다고 전했다. 임관식을 통해 총 168명의 신임 공군 장교가 탄생했다. 여군은 50명이다.
 
지난 8월 기본군사훈련단에 입영한 이들은 3개월간 교육과 훈련을 통해 체력과 정신력, 리더십 등 장교로서 갖춰야 할 역량을 배웠다.
 
가장 우수한 성적으로 임관한 장교에게 주어지는 국방부 장관상은 김경래 소위(방공포병)가 받았다. 합참의장상은 유은제 소위(보급수송), 공군참모총장상은 박승현 소위(인사교육), 교육사령관상은 박종혁 소위(인사교육), 기본군사훈련단장상은 선재하 소위(공병)가 수상했다.
 
다양한 사연을 지닌 장교들이 화제가 됐다. 권재욱 소위(통역)는 미국에서 중·고등학교를 다녀 미국 영주권을 취득할 수 있었지만 한국 군사외교 발전에 이바지하기 위해 공군 통역장교로 임관했다.

권 소위는 미국에서 청소년기를 보내고 중국 푸단대에 진학해 국제법과 국제정치를 전공했으며, 이후 서울대 국제대학원에 진학해 동북아 안보를 연구했다. 지난해에는 외교부 군축·비확산 청년사절단으로 활동하며 한국 청년 대표로 REAIM(안전하고 책임있는 인공지능의 군사적 사용 고위급회의)에서 정책제안서를 발표하기도 했다.
 
공군 부사관과 장교, 육군 군무원에 이어 다시 장교로 임관한 황희일 소위(조종)도 눈길을 끌었다. 황 소위는 조종사의 꿈에 도전하려고 다시 임관했다.
 
김은지 소위(항공무기정비)는 공군 장교 출신 할아버지와 육군 장교 출신 아버지의 뒤를 이어, 김지환 소위(정보)는 공군 장교 출신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뒤를 이어 3대째 장교의 길을 걷게 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