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얀마 강진 사망자 3500명 달해…부상자 4671명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얀마에서 발생한 규모 7.7 강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3500여명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6일 로이터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날 국영 매체를 통해 사망자 수가 3471명, 부상자가 4671명이라고 밝혔다. 실종자는 214명으로 나타났다.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번 지진으로 건물 5223채, 학교 1824곳, 불교사원 숙소 2752곳, 사원·탑 4817곳, 병원 167곳, 교량 169개, 댐 198개, 주요 고속도로 184곳이 피해를 입었다고 전날 밝혔다. 미얀 2025-04-06 15:04
-
[종합] 트럼프, 틱톡금지법 시행 또다시 75일 연기…中 반대 여파 미국이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의 미국 사업 지분을 자국 기업이 인수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중국 정부의 반대로 거래가 일시 보류됐다. 이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금지법 시행(틱톡 미국법인 매각 마감시한)을 또다시 75일 연장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4일(현지시간) 그는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틱톡이 사라지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며 “중국과 협력해 이 거래를 성사시킬 것”이라고 틱톡금지법 시행일 이유를 설명했다. 다만, 인수에 참여할 기업이나 투자자에 대해 2025-04-06 14:33
-
베트남, 韓 아연도금강판에 최대 15.67% 반덤핑 관세 부과 베트남 정부는 한국산과 중국산 일부 아연도금강판 제품에 반덤핑 관세를 임시부과한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한국산 아연도금강판 제품에 최대 15.67%, 중국산에는 최대 37.13%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아연도금강판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는 오는 16일부터 120일 동안 적용될 예정이다. 베트남 당국은 지난해 6월 일부 한국산·중국산 아연도금강판이 덤핑 판매돼 심각한 손해를 입었다는 현지 업계의 주장에 따라 반덤핑 조사에 2025-04-04 18:02
-
美 일자리 감축 팬데믹 이후 최대…공무원 대규모 감원관세 후폭풍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이끄는 정부효율부(DOGE) 주도의 연방 정부 구조조정으로 인해 미국 내 일자리 수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재취업 중개업체 '챌린저, 그레이 앤드 크리스마스'(CGC)가 3일(현지시간)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 고용주들이 발표한 감원 규모는 총 27만5240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연방 정부의 감원 일자리 수가 21만6215개로 약 79%를 차지했다. 이는 2020년 5월, 팬데믹 여파로 대규모 감원이 이뤄졌던 이후 최대 2025-04-04 15:53
-
日이시바 "어떤 정권 들어서도 韓과 협력"...日언론 "사실상 대선 시작" 헌법재판소가 4일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파면을 결정하자 일본 정부는 향후 어떠한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한일 협력이 계속해서 중요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일본 현지 언론들은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긴급 속보로 타전하고 60일 내에 있을 대통령 선거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는 이날 중의원(하원) 내각위원회에서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파면 결정에 대한 질문을 받고 “어떤 정권이 들어서더라도 올해는 한·일 수교 60주년”이라며 한국과 계속 2025-04-04 13:23
-
美 상원, '트럼프 관세' 부과 견제 법안 초당적 발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 교역국에 상호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미국 의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권한을 견제하는 법안이 초당적으로 발의됐다. 3일(현지시간) 더힐과 폴리티코 등에 따르면 연방 상원 재무위원회 소속인 척 그래슬리 의원(공화·아이오와주)과 마리아 캔트웰 의원(민주·워싱턴주)은 무역 정책을 수립·승인하는 의회의 역할을 재확인하는 것을 골자로 한 법안을 제출했다. '2025 무역검토법'으로 명명된 이 법안은 대통령이 관세를 새로 도입하거나 관세율을 2025-04-04 11:00
-
트럼프, 車 관세 발효 이후 "반도체관세 곧 시작"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 관세에 대해 "곧 이뤄질 것"이라고 예고했다. 백악관 공동취재단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마이애미로 향하는 기내에서 취재진에게 "반도체 관세가 곧 시작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제약 관세는 별개의 범주다. 우리는 가까운 미래에 발표할 것이다. 현재 검토 과정에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외국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다. 반도체 관세도 예고함에 따라 한국의 대미 수출 1·2 2025-04-04 06:53
-
러트닉 美 상무장관 "불공정 무역 관행 없애야 관세 인하 여부 논의 가능"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상호관세 부과 방침과 관련해 미국이 지적한 불공정 무역 관행을 다른 나라들이 없애야 관세 인하 여부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3일(현지시간) CNN과 인터뷰를 통해 관세 협상 여지를 묻는 말에 "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관세를 철회할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은 세계 무역 질서의 재편"이라고 답했다. 다만 그는 "다른 국가들이 그들의 관세와 관세보다 훨씬 심한 비관세 장벽을 교정할 수 있다"며 협상 가능성을 내 2025-04-04 06:13
-
美 관세 폭탄에 증시 초토화…트럼프 "시장 호황 누릴 것"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를 단행하며 미국 내 주식 시장이 출렁였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상호관세 부과가 추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3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사우스스론에서 기자들과 만나 상호관세에 부과에 대해 "아주 잘 진행되고 있다고 생각한다. 환자가 수술받을 때와 같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관세 부과를 통해 7조 달러(약 1경 165조원)에 가까인 대미 투자가 들어올 것이라 주장하며 "시장은 호황을 누릴 것이다. 주식 호황과 2025-04-04 06:06
-
오락가락 美 관세…백악관, 韓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 26%→25% 수정 미국 백악관이 한국에 부과하는 상호관세율을 25%로 재확정했다. 백악관은 3일(현지시간) 홈페이지에 공개한 상호관세 행정명령 부속서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25%로 수정했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율 발표에서 한국에서 생산되는 제품이 미국으로 수출될 경우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지만, 행정명령 부속서엔 26%라고 적혀있어 혼선이 빚어졌다. 당초 미국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26%가 맞다는 입장을 취했다. 연합뉴스가 확인을 요청하 2025-04-04 05:56
-
[포성 울린 관세戰] 美 상호관세 직격탄 맞은 亞 "이제 中 저가공세 고민해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공격에 직격탄을 맞은 아시아 대부분 국가들이 이제는 중국산 저가 공세를 우려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다고 로이터통신이 2일(현지시간) 평가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주요 아시아 국가들 중 한국은 26%의 관세를 부과받은 가운데 일본, 브루나이, 말레이시아(24%)보다는 다소 높지만 중국(54%, 추가관세 포함), 베트남(46%), 태국(37%), 인도네시아, 대만(32%), 인도(27%) 등 아시아 주요국들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로이터통신은 이른바 베트남과 같 2025-04-03 18:12
-
[포성 울린 관세戰] 트럼프, 러시아 관세는 제외…주요국 중 유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전 세계를 대상으로 최소 10%의 상호관세를 부과했지만, 러시아는 제외됐다. 미국 정치매체 악시오스는 이날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러시아 관세 제외에 대해 “이미 각종 제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제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러시아는 이미 각종 제재 등으로 의미있는 무역이 불가능한 상태이기 때문에 관세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하지만 이는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남태평양에 있는 인구 1500명의 뉴질랜 2025-04-03 17:14
-
"북한 핵추진잠수함 공개…한반도 군비경쟁 심화 가능성" 북한이 핵추진 잠수함 건조 현장을 공개한 가운데 한반도에서 군비경쟁이 심화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군사 전문가 H.I. 서튼은 2일(현지시간) 프랑스 매체 네이벌뉴스에서 “핵추진·핵무장 잠수함 건조는 한반도에서 군비 경쟁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서튼은 북한의 핵잠수함이 작전 능력을 갖추기까진 몇 년이 걸릴지 몰라도 이미 핵 논쟁을 재편하고 있다고 봤다. 또 한국의 핵무기·핵잠수함 확보 논의는 공론장에서나 정부 내에서나 새로운 동력을 얻었다 2025-04-03 16:21
-
[포성 울린 관세戰] 한국 상호관세 수치 혼란…트럼프 설명자료 25%·백악관 문서 26%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공식 문서에는 26%로 표시된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안을 발표했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재진에게 관련 자료를 들고 각 국가들을 하나씩 짚어가며 설명했다. 이 자료에서 한국에 부과되는 상호관세율은 25%였다. 여기에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과 백악관이 공식 X(옛 트위터)에 올린 자료에서도 한 2025-04-03 14:55
-
[포성 울린 관세戰] 美 자동차·주요부품 25% 관세폭탄 정식 발효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및 자동차 주요 부품에 부과하기로 결정한 25% 관세가 3일(현지시간) 정식 발효됐다. 25% 관세가 적용되는 부품에는 엔진, 변속기, 파워트레인(전동장치), 전기 부품 등이 포함됐다. 이에 따라 한국에서 만들어진 자동차와 부품도 이 시점부터 미국으로 수출할 때 25% 관세가 붙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상호관세 부과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직접 도표를 들어 보이며 각국에 대한 관세율을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트럼 2025-04-03 13:54
-
[포성 울린 관세戰] 日, 24% 관세에 "지극히 유감, 제외 계속 요청"...증시 4% 폭락하기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2일(현지시간) 백악관 연설을 통해 일본에도 예외 없이 철강·알루미늄 관세, 자동차 관세에 이어 24%의 상호 관세까지 부과하겠다고 발표하자 일본 정부는 “지극히 유감”이라며 지속해서 미국에 제외를 요청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무토 요지 일본 경제산업상은 3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언급하고 일본 산업에 미칠 영향을 조사해 대책 마련에 서두르겠다고 발표했다.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도 “미국의 이번 조치는 미·일 양국의 경제 관계, 나아 2025-04-03 13:27
-
"알리바바·텐센트 등 올해 엔비디아 칩 23조원어치 샀다" 중국 기업들이 올해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칩을 160억 달러(23조5000억원) 이상 주문한 것으로 전해졌다. 2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정보기술(IT) 전문 매체 디인포매이션을 인용해 알리바바와 텐센트, 바이트댄스 등 중국 기술 대기업이 올해 1~3월 엔비디아의 H20 칩을 160억 달러 이상 주문했다고 보도했다. H20 칩은 미국의 대(對)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아래에서도 합법적으로 중국에 판매할 수 있다. 엔비디아의 최신 AI 칩 블랙웰보다 성능은 낮지만, 블랙웰에서 사용되는 고대역폭 메모리(HBM)를 2025-04-03 11:32
-
[포성 울린 관세戰] 피치 "美 관세율 1년 새 2.5→22% 급등…1910년 수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 세계를 겨냥해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미국 관세율이 약 1910년 이후 최고치인 22%로 급등했다고 국제신용평가사 피치가 밝혔다. 피치의 올루 소놀라 미국 경제연구 책임자는 2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를 분석한 결과, 수입품에 대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024년 2.5%였던 것이 1년 만에 22%로 높아지게 됐다고 분석했다. 소놀라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 같은 결과에 대해 “1910년 이후 최고”라며 “모든 무역 상대국이 훨씬 높 2025-04-03 0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