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오병권 교수 | ||
교과부는 오 교수가 정수방정식의 정수해에 대한 연구에서 가장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인 '국소-대역 원리'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면 항상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냄으로써 이차 연립 정수방정식의 정수해의 존재 여부가 매우 무질서함을 규명했다고 선정이유를 밝혔다.
국소-대역 원리는 방정식에 있는 변수들을 정수라고 가정하고 등식의 좌우 항을 어떤 자연수로 나눠 나머지를 계산해도 나머지가 같아지는 정수해가 존재하면, 동차 이차 연립 정수방정식의 유리수 해가 반드시 존재한다는 원리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통해 정수해의 존재 유무를 판별할 수 없으며 어떤 이차 연립 정수 방정식이 정수 상에서의 국소-대역 원리가 성립하는지 밝히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로 알려져 있었다.
교육과기부는 오 교수가 특수한 경우를 제외한 모든 양 이차형식의 표현에 대한 국소-대역 원리가 언제나 성립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이를 수학분야의 최상위 학술지 중 하나인 '인벤시오네 마테마티케(Inventiones Mathematicae. 2007년 11월호)에 발표했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