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오는 2010년까지 민영화할 예정인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49%를 현시점 가치로 평가해 헐값에 매각하려 한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예상된다.
6일 국토해양위원회 국토행양부 국정감사에서 김성순 의원(민주당)은 "기획재정부가 최근 수립한 국가중기재정계획(2008~2012)에 의하면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분 49%를 2010년까지 매각할 계획 아래 매각대금을 세외수입으로 책정하고 있음이 확인됐다"면서 "재정부에서는 2010년 세외수입에 인천국제공항공사 매각대금으로 얼마를 반영했는가를 공개하지 않고 있지만, '현 수준을 바탕으로 반영했다'고 하니, 1조7천억원~1조9천억원 내외가 될 것"이라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성순 의원은 "인천국제공항 건설에 8조7천억원이 투입되었는데, 단순 평가액이 4조원에 불과한 저평가상태에서 지분매각을 추진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처사"라며 "투자리스크를 최소화 하고, 핵심사업으로 추진 중인 Air-City 등 주변지역 개발과 해외사업 진출의 성과가 정점에 달하고, 3단계 확장사업 투자가 어느 정도 마무리되는 시점, 즉 2015년을 전후한 시점이 지분매각의 적기"라고 주장했다.
김의원은 "인천국제공항은 2004년 순이익이 발생한 후 4년간 누적순이익이 6000억원이 넘으며, 금년도 예산상 매출액이 1조1677억원, 영업이익 5097억원, 당기순이익 2322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매출액 20.2%, 당기순이익 12.1%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날로 경영수지가 큰 폭으로 개선될 전망"이라며 이같이 주장했다.
김의원은 또 "설령 인천국제공항공사를 민영화한다 하더라도 지금은 시기상조로 매각가치를 극대화하는 시점을 정해야 한다"고 밝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부가 인천공항공사 지분매각을 서두른다면 헐값매각 및 특혜시비에서 벗어나기 어려울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영배 기자 young@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