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최근 부동산 시장 거래를 자극하기 위한 부양 조치를 내놓았지만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으며 업계 내에서는 오히려 관망 분위기가 더욱 짙어지는 가운데 이달 말 공개될 세칙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고 광저우(廣州)일보가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 22일 국무원은 새로운 부동산 부양 정책들을 발표하고 얼어붙은 시장 살리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신 부동산 정책은 부동산 인지세와 부가가치세를 한시적으로 면제하고 거래세를 인하하는 세금 감면 정책을 비롯하여 은행들은 부동산 담보 대출시 생애 최초 주택 구입자의 경우 담보의 20% 이상을 담보대출로 제공하는 내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이같은 정책적 격려에도 불구하고 신 부동산 부양정책은 큰 실효성을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사진: 광저우에서는 신 부동산 부양 조치 발표에 발 맞춘 프로모션 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진은 광저우 시내 빌딩. |
문의하는 사람들은 분명 많아졌지만 정작 거래가 성사되는 것은 많지 않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신 정책이 실효를 갖게 되는 11월1일 전후가 수요 공급 쌍방의 관망기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부동산 거래가 진공상태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신정책으로 부동산 업게 조정이 이대로 끝나 부동산 시장에 온기가 돌게 될 것이라고 보는 것은 아직 이르다는 주장이다.
◆광저우
광저우 중심지, 특히 접근이 용이한 지하철 역 부근의 몇몇 모델하우스에는 신 정책 발표 후 방문객과 문의하는 이들이 분명 많아졌지만 거래량은 이전과 다름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 인사는 이달 말 구제적인 정책 발표후 주택 구입에 나서도 늦지 않는다는 관망 정서가 농후하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시장에 아직 눈에 띄는 회복세가 보이고 있지는 않지만 개발업체들은 이미 이 시기를 기회로 삼아 새로운 프로모션 공세를 펴나가고 있다.
일부 개발업체들은 '신 정책' 발표 시기에 맞춘 최신 특가, 할인율 등을 내놓아 주목 받고 있다.
◆베이징
정책이 발표된 지 채 며칠이 지나지 않았지만, 지난해 하반기 이래 침체기에 진입한 베이징 부동산 시장의 경우 적잖은 개발업체들이 공통적으로 신 정책으로 인한 자극 효과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주택 구매의사를 가지고 있는 일부 사람들과 업계 인사들은 이달 말에 공개될 신 정책 세칙을 기다리고 있으며 특히 1가구 2주택에 대한 정책 제한이 완화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주택을 구매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 한 수요자는 광저우일보 기자와의 인터뷰에서 가격이 여전히 비싸며 정부 정책방향은 확실해졌지만 구체적인 세부 규정이 나오지 않은 상황이라 실제 구매에 나서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자금 회전율이 낮아 어려움에 처한 개발업체들이 이후 가격을 더 하락시킬 것으로 기대한다고 예상을 전했다.
◆선전
부동산 시장에 새로운 정책이 선보인 첫 주말, 선전시 푸텐(福田) 중심 지역의 한 모델하우스에서는 방문객들이 눈에 띄게 증가하지 않았다.
하지만 구매 의사를 확실히 한 이들이 전보다 20%가량 늘었다고 모델하우스 담당자는 말했다.
![]() |
||
사진: 상하이의 한 모델하우스 내부를 둘러보고 있는 방문객들. |
같은 푸텐 지역의 또 다른 중소형 주택 모델하우스에서도 전화 문의 및 직접 모델하우스를 방문하는 사람들이 증가했으며 처음 주택을 구매하는 사람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담당자는 신 정책이 발표된 이후 주택 판매를 위한 별도의 관련 프로모션 활동을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상하이
상하이 현지 부동산 거래센터와 개발업체, 중개업체에서는 직접 방문하거나 전화로 문의하는 이들이 많아졌지만 거래량이 침체된 상황 자체는 개선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소비자들의 관망태도는 한층 더 심화됐다는 분석이다.
상하이시의 창닝(長寧)과 징안(靜安), 푸동(浦東) 등 3개 지역의 부동산 거래센터에서는 센터를 찾는 사람들과 전화 문의가 신 정책 발표 이전 보다 2~3배가 가량 늘었지만 실제 거래량은 다소 줄어들었다고 밝혔다.
상하이 인터넷 부동산의 통계 수치에 따르면 신 정책 발표 후 이틀간 상하이 신규 주택 일평균 거래 면적은 1만여 평방미터로 정책 발표 이전보다 20%가량 줄어들었다.
오성민 기자 nickioh@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