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체의 터널에서 벗어나기 위해 감세와 상품권 지급 정책을 내놨던 타이완 정부가 신년들어 기준 금리를 인하하면서 다시 한번 경기 부양 의지를 다지고 있다.
타이완 중앙은행은 지난 7일(현지시간) 기준금리인 10일 만기 대출 재할인율을 기존의 2%에서 1.5%로 0.5%포인트 인하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수출급감이 타이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이 금리 인하 단행의 이유라는 분석이다.
타이완 중앙은행은 "수출증가율이 둔화하고 실업률이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며 "계속된 금리인하를 통해 내수를 진작할 것"이라고 전하면서 "다만 기준 금리를 제로로 내리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타이완에서는 이번 인하를 포함, 지난 9월 이후 총 6차례의 금리 인하가 있었다.
경제의 3분의2를 차지하고 있는 수출부문은 최근의 글로벌 동반 경기 침체 기조로 심각한 타격을 입으면서 지난해 12월 대만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2% 급감했다.
5일부터는 150개 상장 종목에 대한 공매도 규제가 완화됐다.
전 고든 천 위원장 후임으로 지난 12월 1일 임명된 숀 첸 타이완 금융감독위원장은 "공매도를 허용하는 것은 감독국의 우려만큼 위험하지 않다"며 "타이완 주요 종목 50개와 중형주 및 기술주 100개에 대한 공매도를 허용하겠다"고 말했었다.
"투자자들이 증권사로부터 주식을 빌려 판 뒤 이 주식을 싼 가격에 되사는 공매도는 증시가 활성화되기 위해 필요한 작동원리로 오랫동안 규제를 가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첸 위원장은 설명했다.
타이완 금융감독위원회는 지난 11월 27일부터 직전 거래일 종가 이하에 대한 공매도를 금지해왔다.
서혜승 기자 harona@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