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FTA 조속 재개, 부품소재 분야 협력 공동 노력
이명박 대통령과 아소 다로 일본 총리는 12일 양국 관계를 ‘미래지향적 성숙한 동반자 관계’로 발전시켜 나가며 공동이익을 위한 실질적 경제협력을 확대키로 했다.
양 정상은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이같이 합의하고 금융위기 극복과 실물경기 회복을 위한 상호 협력과 한일FTA(자유무역협정) 협상 재개를 위한 검토를 촉진키로 합의했다.
또 오는 4월 런던에서 개최되는 제2차 G20 금융경제정상회의에서 금융시스템 개혁, 거시경제정책 공조, 보호무역주의 대처 등에 있어 긴밀히 협력키로 하는 동시에 한국의 금융안정포럼(FSF) 가입에 일본 정부가 적극 지원키로 했다.
양 정상은 특히 실질적 경제협력 증진을 위해 부품소재산업 분야에서 일본 기업의 한국 진출이 확대될 수 있도록 공동 노력키로 했다.
아울러 제1차 중소기업 CEO(최고경영자)포럼을 올 여름 일본 도쿄에서 개최키로 하는 등 양국간 중소기업 교류를 확대하는 한편, 우주·원자력 등 과학기술분야 협력을 강화키로 했으며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긴밀하게 협력키로 합의했다.
양 정상은 북핵문제 해결과 관련, 6자회담을 통한 북한의 비핵화 실현을 위해 향후 인내심을 갖고 공동 노력키로 했다.
이와 함께 국제사회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걸맞게 각종 국제 현안에 능동적으로 기여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으고, 그 일환으로 아프가니스탄 재건을 위한 공동협력 방안을 모색키로 했다.
양 정상은 이외에 현재 500만명 수준의 양국 인적교류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필요가 있다는데 공감하고, 관광취업사증제도, 이공계 학부 유학생 파견, 대학생 교류 등 젊은 세대 간 교류사업 확대를 적극 지원키로 했다. 또 한일 관계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연구하는 한일 신시대 공동연구도 시행키로 합의했다.
그러나 이번 정상회담에서 독도 영유권 문제 등 향후 한일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는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언급조차 되지 않아 일각에서는 '알맹이가 빠진 회담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