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들의 블로그가 진정 '소통의 장'으로서 역할을 다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
◆정부, 블로그 제작 확산
정부는 블로그 담당자를 따로 두어 운영하며 홍보예산 내에 별도 예산을 편성하거나 기술적 부분인 디자인, 만화 등의 경우 외주 업체를 고용하고 있다.
청와대측은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노동부, 금융위원회, 국민권익위원회, 경찰청, 소방청, 특허청을 제외한 모든 부처가 블로그를 운영중"이라며 "다만 문광부의 경우, 정부 부처 블로그들을 통합관리하고 있지만 정작 문광부 자체의 콘텐츠를 다루는 블로그가 없어 5월에는 자체 블로그를 만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국민소통비서관실 이두호 행정관은 "정책담당자는 관련 콘텐츠를 작성하고 네티즌 눈높이에 맞춰 운영한다"며 "현재 소통의 과정에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행정관은 "2008년 10월 정부 전체블로그 누적 방문자수가 600~800만 명이었지만 현재 1800만 명으로 1000만 명 이상이 늘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성과가 있었다"며 "문광부에서 운영하는 ‘정책공감’ 블로그의 경우 4개월 만에 100만 명을 돌파하는 실적을 올렸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일부 언론매체에서는 정부가 블로그 생태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냐고 하지만 오히려 좋은 소통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로그 소통의 장 역할은
정치인들도 '블로고스피어'의 바다에 흠뻑 빠져들었다. 현재 56명의 의원들이 블로그를 운영중이다.
18대 국회의원 블로그 가치평가에서 1위를 차지한 한나라당 황영철 의원 측은 "블로그 사진이나 자료는 의원실에서 관리하지만 댓글이나 글 내용은 직접 황 의원이 작성한다"며 "지역문제를 건의하는 등의 의사표현이 자유롭게 개진돼 의정활동에 반영된 적도 많다"고 말했다.
민주당도 지난 23일 당 차원에서 '국민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파워블로거와의 대화를 통해 국민과의 소통에 나섰다. 이 자리를 주최한 민주당 전병헌 의원 측은 "지금까지 일방적 정보를 제공했지만 블로그를 통해 자유로운 의사소통을 하게 됐다는 것은 의미있는 일"이라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정치인의 블로그가 진정 네티즌의 자발성에 기반해 운영되고 있지는 않다고 평가했다.
세종대 신문방송학과 임종수 교수는 "정부 블로그는 예산이나 인력이 조직적으로 편성된 결과지 자발성에 기반한 것이 아니다"며 "신문·방송 시절 그대로를 인터넷에 옮긴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국민 참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보람 기자 bora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