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유엔안보리 긴급회의 소집…‘대응 결의안’ 마련할 듯
북한이 5일 장거리 로켓을 발사함에 따라 한미일 3국이 강력대응 의사를 밝혀 한반도 안보지형에 커다란 파장이 일 전망이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우리의 과학자, 기술자들은 국가우주개발전망계획에 따라 운반로케트 ‘은하-2호’로 인공지구위성 ‘광명성 2호’를 궤도에 진입시키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관련기사 2, 4면>
중앙통신은 은하2호가 이날 오전 11시20분 함경북도 화대군 동해 위성발사장에서 발사돼 9분2초만인 11시29분2초에 광명성 2호가 궤도에 진입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정부는 이날 오전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긴급 소집하고, 향후 대응책 마련에 전격 착수했다.
이명박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군 경계태세를 확실히 하라”고 지시했다.
이에 따라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스티븐슨 미국 대사, 나카소네 히로후미 일본 외상 등과 연쇄 접촉을 갖고 국제 공조방안 마련에 주력했고 국방부도 한미 연합 미사일 전력증강 문제를 검토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번 사태에 대해 “정부는 북한의 도발에 대해 단호하고 의연하게 대응할 것”이라며 “그러나 동시에 열린 자세로 인내와 일관성을 갖고 북한의 변화를 기다릴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이어 “온 세계가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한마음으로 지혜를 모으고 있는 때에 장거리 로켓 발사로 한반도와 세계 안보에 심각한 위협을 안겨준 북한 당국의 무모한 행동에 실망과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고 일갈했다.
미국, 일본도 이번 사태를 “도발적 행위”로 규정 강력대응 방침을 밝혔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은 스스로 국제사회에서 고립을 자초했다”며 “대포동2호 발사는 어떤 종류의 탄도미사일 활동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안 1718호에 대한 명백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아소 다로 일본 총리도 “매우 도발적인 것으로서 간과할 수 없다”며 북한 로켓 발사 30여분 뒤 곧바로 유엔 안보리 긴급회의를 소집하는 등 발 빠른 대응에 나섰다.
유엔 안보리는 일본의 요청에 따라 6일 비공개회의를 열고 북한의 로켓 발사 문제를 논의할 예정이다.
송정훈 기자 songhddn@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