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200 연구개발자금 1000억 담보
-산은 우선회생 긴급자금 8800억 투입요구
기업회생절차를 밟고 있는 쌍용차가 전체 7200명 중 최대 40%인 2900명을 감원하기로 한 가운데, 쌍용차 노조가 이에 강력 반발하고 나서 노사 충돌이 우려되고 있다.
한상균 금속노조 쌍용차 지부장은 7일 평택공장 노조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최근 불거진 40% 감원 논란에 “참담한 심정을 가눌 길이 없다. 법정관리 책임 당사자는 어떠한 처벌도, 책임도 지지 않는 상황에서 더 이상 노동자들을 상대로 고통전담을 강요할 경우 엄청난 저항에 직면할 것이다”고 분노했다.
이날 노조는 기자회견에서 △상하이차 지분 51.33% 소각 △일자리 나누기로 총고용 유지(5+5와 3조 2교대) △비정규직 고용안정 기금 쌍용차지부 12억 출연 △C-200긴급자금, R&D 개발자금 1000억 담보 △산은 우선회생 긴급자금 투입요구 등 5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한 지부장은 “아무도 책임을 지지 않으려는 질식할 것 같은 상황이어서 노조가 직접 나서게 됐다”며 “비정규직 노동자들과 함께 하기 위해 비정규직 고용안정 기금 12억을 노조가 출연하고, C200 공사 및 연구개발비 1000억원에 대해 담보키로 했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정책이기도 한 일자리 나누기를 통한 고용유지(5+5와 3조 2교대를 포함한 근무형태 변경)를 통해 사람을 잘라내는 방식이 아닌 노동시간을 줄여 일자리를 나누는 방안을 도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산업은행에 우선회생 긴급자금 8800억원 투입을 요구하기도 했다. 한 지부장은 “자금 투입을 더 이상 미루면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게 된다”며 “부품사 연쇄부도를 막고 원활한 부품 공급을 위해 최소 2달치 봉급이 지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지부장은 “대규모 정리해고 방식의 정상화는 불가능하다”며 “쌍용차지부가 정상화를 위한 구체적 방안을 내놓은 만큼 사측과 정부의 책임 있는 답변과 조치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한편 쌍용차는 8일 오후 2시 서울 역삼동 포스틸타워에서 구조조정안이 담긴 경영정상화 방안을 밝힐 예정이다. 앞서 7일 오후 3시30분에는 평택 공장에서 노조를 상대로 ‘기업회생을 위한 경영정상화 방안 설명회’를 개최했다.
김훈기 기자 bom@ajnews.co.kr
<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