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노(非盧) 성향의 당내 비주류 모임인 민주연대는 2일 성명을 내고 "이명박 정부가 참여정부 흠집내기에 온 힘을 쏟는 상황에서 일관된 침묵으로 노 전 대통령을 지키지 못한 데 대해 진심으로 사죄와 반성을 한다"고 밝혔다.
송영길 최고위원도 이날 지인들에게 보낸 e-메일에서 "부평을 재선거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까 싶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를 부담스럽게만 느끼고 도망치고 싶어했던 나 자신의 모습을 돌이켜보게 된다"며 "미안하고 부끄럽다"고 자책했다.
송 의원은 노 전 대통령 서거 전 "재임기간 돈 받은 경위에 대한 진위를 밝히라"고 촉구했었다.
참여정부에서 국세청장과 행자, 건교 장관을 지낸 이용섭 의원은 홈페이지 글에서 "민주당은 자기혁신이나 반성을 하지 않아도 될만큼 당당한가"라며 자성을 촉구했다.
이 같은 자성론에는 그간 거리를 둬온 노 전 대통령이 서거한 이후 '노무현 정신'을 계승하겠다고 나선 데 대한 안팎의 비판을 겸허히 받아들임으로써 '과거'에 대한 부담을 털고가겠다는 뜻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
한편 참여정부에서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김근태 민주당 상임고문은 이날 공개편지 형식의 긴급호소문을 내고 "너무나 외로웠던 노 전 대통령의 마음, 너무나 서러운 국민의 마음을 이명박 대통령이 받아줘야 한다"며 이 대통령의 공개 사과를 촉구했다.
그는 "공안통치의 유혹에 빠지면 무서운 재난이 덮칠 것"이라며 "미디어 관련법 등 다수의 힘으로 관철시키려는 MB법들이 국민 합의로 처리되도록 결단해 달라. 국민을 부엉이 바위로 내몰아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인터넷뉴스팀 기자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