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 아파트값↓..제2금융권 DTI적용 '약발'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09-11-11 13: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정부가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를 제2금융권으로 확대하는 등 최근 들어 '집값 억제' 정책을 편 것이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강남권의 경우 원래 DTI 제한을 받아온 투기지역이지만 올 들어 가격이 급등한데 따른 부담감과 정부의 규제의지에 대한 심리적 영향으로 재건축을 중심으로 집값 하락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9월 초 정부가 처음 DTI 규제를 확대시행한 이후 상승세가 둔화됐던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달 12일 제2금융권으로 DTI 규제가 확대되면서 하락세로 돌아섰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에 따르면 제2금융권 DTI 확대시행 직전인 10월9일부터 이달 6일까지 4주간의 아파트 매매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서울은 -0.09%, 신도시 -0.04%, 수도권 -0.01% 등으로 나타났다.

그 직전 4주간(9월11일~10월9일)에는 서울 0.16%, 신도시 0.13%, 수도권 0.19% 등으로 소폭이나마 상승세를 이어간 것과 대비된다.

서울에서는 강동구가 -0.48%로 하락세가 두드러졌고 송파구 -0.33%, 강남구 -0.17%, 중랑구 -0.08%, 노원구 -0.06%, 도봉.성북구 -0.05%, 구로구는 -0.01%로 내림세를 보였다.

강남지역 아파트값이 내린 것은 올해 집값 상승을 이끌어왔던 주요 재건축 단지의 하락폭이 컸기 때문이다.

서울지역 재건축 아파트 매매가는 제2금융권 DTI 적용 이전 4주간은 보합세를 보이다가 이후 4주에는 0.71% 내렸다.

특히 강남구(0.19 → -0.88%)와 강동구(-0.27 → -1.29%), 서초구(0.63 → -0.15) 등 강남권 재건축의 낙폭이 컸다.

이미 DTI 규제를 받아온 강남지역의 재건축 아파트는 올 들어 호가가 급상승했다가 8월 말 정부의 자금출처조사 실시로 매수심리가 위축된 상황이었다.

여기에다 정부가 DTI 규제의 확대 등으로 '집값을 잡겠다'는 신호를 잇따라 보내자 다른 지역보다 더 민감하게 반응한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는 지난달 중순 11억8000만원 선이던 112㎡형이 최근 11억5500만원에 거래됐다.

9월 말~10월 초까지만 해도 12억1000만원에 팔린 것을 감안하면 6주 만에 5500만원이 떨어진 것이다.

올해 최고 거래가인 7월 중순의 13억원보다는 1억4500만원이나 하락했다.

강남구 개포 주공1단지도 56㎡형이 최근 12억8000만원에 팔려 10월 중순의 13억4000만원에서는 8000만원, 사상 최고가이던 9월의 14억원보다는 1억2000만원이 떨어졌다.

43㎡형도 지난주에 7억8천만~7억9000만원에 거래됐는데 9월 초와 비교하면 8000만원가량 떨어진 가격이다.

강동구 둔촌 주공1차 112㎡형은 올해 최고가가 9억9800만원이었고 10월 초까지 9억3000만원 선에 거래됐지만 지난주에는 8억7000만원에 팔렸다.

인터넷뉴스팀 news@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