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이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하며 13개월 연속 저금리 기조를 유지했다.
하지만 이성태 한은 총재는 금융완화 기조를 줄이는 데 금융통화위원들의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였다.
한은은 11일 오전 정례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현재 2.00% 수준인 기준금리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한은은 지난해 3월부터 13개월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한은은 5.25%였던 기준금리를 지난 2008년 10월부터 지난해 2월까지 5개월에 걸쳐 3.25% 인하했다. 그 이후에는 기준금리를 바꾸지 않았다.
한은이 이처럼 장기간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전까지 동결 최장 기록은 지난 2003년 8월부터 2004년 7월까지 12개월.
한은이 이달에도 기준금리를 동결한 것은 유로지역 재정 위기 등 대외 돌발 변수 발생 가능성 때문이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해에 비해 내수와 생산 모두 큰 폭으로 증가세를 그리고 있지만, 일부 국가의 과대채무 문제 등으로 향후 성장경로에 불확실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경기회복 모멘텀이 약화되고 있는 것도 기준금리 동결의 배경으로 풀이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 1월의 경기선행지수 전년 동월비는 전월보다 0.3%포인트 떨어지면서 13개월만에 하락세를 나타냈다. 실업자는 지난 1월에 121만6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만8000명 증가했고 실업률은 5.0%로 2001년 3월(5.1%) 이후 가장 높았다.
하지만 이성태 한국은행 총재는 금융통화위원들 간 금융완화기조를 줄이는 데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밝혀 금리 인상 가능성을 높였다.
이 총재 이날 금통위 직후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당분간 물가상승률은 2.5% 전후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고 경제성장 속도는 올해 전체로 4∼5%로 전망돼 2.0%의 기준금리는 분명히 금융완화기조"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현재 금융통화위원들 사이에 금융완화기조를 적당한 시기에 줄여가는 쪽으로 공감대가 형성됐다"며 "금융완화 기조는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지만 시점이 언제인 지 확인하고 의견을 맞추는 과정"이라고 밝혔다.
이 총재의 발언은 낮은 수준의 기준금리를 통화정책의 전제로 하되 적절한 금리 인상 시기와 인상폭을 조율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그는 "경기회복이 이어지면 수요압력이 커질 수 있고 공공요금 서비스가격에서 가격조정 압력이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허경욱 기획재정부 제1차관은 이날에도 금통위에 참석해 열석발언권을 행사했다.
한은 본관 로비에서는 한은 노동조합원들이 '관치금융 반대', '통화정책 독립'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허 차관의 금통위 열석발언에 대한 반대 시위를 벌였다.
아주경제= 김유경 기자 ykkim@ajnews.co.kr
(아주경제=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