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함 민군 합동조사단은 7일 국방부가 최근 공개한 구글영상 속 북한 잠수함은 측정 결과 연어급이 아니라는 기자협회의 문제제기에 대해 정면으로 반박했다.
합조단은 "기자협회의 잠수정 측정은 앞쪽의 그림자 부분 4~5m를 추가해 계산함으로써 더 늘어난 것"이라며 "전문 분석관이 구글영상을 확인한 결과 영상 속의 잠수정의 크기는 28~30m로 연어급이 정확하며 폭도 3.5m로 상어급(3.8m)보다 작다"고 밝혔다.
앞서 국방부는 지난달 30일 평양 근방 대동강 하구 특수선박 제작소에서 2004년 6월에 촬영한 북한의 연어급(130t급) 잠수함 건조 사진을 인터넷 포털인 구글에서 확인했다면서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합조단은 어뢰 설계도에 적힌 일본어 글자에 대한 해명 요구에 "설계도면의 일본어 표기는 일본어처럼 보이지만 일본어가 아니며 컴퓨터 프로그램 호환상 문제로 인해 발생한 무의미한 기호"라고 설명했다.
또한 설계도와 실제로 발견된 모터의 모양이 다르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설계도상의 모터는 외부케이스를 그림으로 표시한 것으로 어뢰형태를 고려할 때 직사격형이 아니라 원통형"이라며 "실제 발견된 모터는 전체가 아닌 파손된 일부 잔해로 브러시와 회전자 부분으로 크기 등을 비교할 때 동일한 것으로 확인됐다"고 덧붙였다.
어뢰와 함체의 부식상태가 다르다는 지적과 관련해서는 "어뢰와 함체의 부식상태를 서울대 권동일 교수 등 4명의 육안으로 식별한 결과 부식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판단했다"며 "가속화 실험법으로 정확한 부식기간을 감정 중이며 이달 말에 결과가 확인될 예정"이라고 답변했다.
합조단 측은 이같은 설명에도 불구하고 의혹이 해소가 안될 경우 기자협회와 공개토론을 하겠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지난 3월26일 천안함 침몰 직전에 한국과 미국이 서해에서 대잠수함 훈련을 포함한 해상 훈련을 진행하고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원태재 국방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미 연합 키리졸브 훈련이 3월25일부터 26일까지 서해 태안반도 인근 해상에서 실시됐다"며 "훈련은 천안함 사고 이전(오후 9시)에 마무리됐고 사고지점과 170km 떨어져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훈련기간 중 주간에 대잠훈련도 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해상에서 170km 떨어져 있으면 잠수함 탐지가 불가능하다"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