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앞으로 세계경제의 '탈동조화(decoupling)' 현상이 심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은 8일 `중국 제조업의 환경 변화와 향후 전망' 보고서에서 "중국의 가공무역이 축소되고 내수시장이 확대되면서 아시아 지역 국가와 유럽.미주 선진국 경기의 동조화 현상이 줄어들 것"이라고 밝혔다.
경기 동조화(coupling)란 한 국가(지역)의 경기가 다른 국가(지역) 경기 변동의 영향을 받아 비슷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경제 의존도가 높을수록 동조화가 강하게 나타나며 탈동조화는 이와 반대되는 현상이다.
아시아 신흥시장국과 주요 선진국의 탈동조화 현상은 금융위기 이후 뚜렷해졌다. 지난해 미국과 유로지역 경제는 -2.6%와 -4.1% 성장했지만, 중국과 인도는 9.1%와 7.4%씩 성장했다.
한은은 특히 중국 경제가 분업화.전문화.개방화에 힘입은 `효율 주도형' 성장에서 이제는 인적.물적 자본의 개선과 기술 발전 등을 통해 얻는 `혁신 주도형' 성장으로 전환함에 따라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고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는 `질적인 선진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news@ajnews.co.kr
[아주경제 ajnews.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