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의 구제역 발생지역이 경북 영주시와 예천군 등 27곳으로 확대된 것으로 확인돼 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이에 따라 정부 당국과 지자체는 지역간 경계지역에 대한 '차단방역'에 집중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5일 "지난달 29일 안동에서 구제역이 처음 발생한 이후 지금까지 구제역은 모두 27곳으로 늘었다"며 "4일에는 경북 영주시의 한우농가 2곳과 예천군의 한우농가 1곳, 안동의 한우 및 돼지농가 각 1곳 등 모두 5곳에서 추가로 의심신고가 접수됐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구제역 의심신고는 모두 38건이 접수됐으며 27건은 구제역으로 청송 지역을 포함한 5건은 음성으로 판정됐다. 영주와 예천 등 나머지 5건은 이날 오후부터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그러나 당국은 구제역 바이러스의 잠복기가 1∼2주 정도여서 향후 1주일 내에 의심신고는 물론 추가 구제역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고 차단방역이 실패하면 구제역 피해지역이 크게 확산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한편 정부 당국은 구제역의 확산을 막기 위해 안동 52곳, 안동 외곽 115곳, 강원 8곳, 충북 10곳, 충남 6곳, 경남 24곳, 전북 25곳, 전남 27곳, 대구 2곳, 울산 7곳 등 전국적으로 276곳에 이동통제 초소를 설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