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이 대통령은 “올해 국정운영의 두 축은 역시 안보와 경제”라고 강조하고 복지문제에선 국민 삶의 질 선진화를 통해 고령화·양극화 추세의 부작용을 해소하겠다면서 ‘맞춤형 복지’를 꼽았다.
또 자유무역협정(FTA)을 확대함으로써 세계 통상 중심국가로 도약해야 한다는 비전 제시와 함께 “한·중 FTA, 한·일 FTA도 신중하면서도 속도를 내 추진해 나가겠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가진 신년 특별연설을 통해 “북한은 말뿐 아니라 행동으로 평화·협력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며 “대화의 문은 아직 닫히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는 북한이 지난 1일 ‘신년 공동사설’에서 대화·협력을 통한 남북간 대결상태 해소를 주장한 데 대해 ‘남북관계 개선을 위해선 북한이 먼저 변화해야 한다’는 정부 입장을 재차 피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이어 “북한은 군사적 모험주의로 얻을 게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며 핵 개발 포기를 요구했다. 또 “국제사회도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공영의 길로 나설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해야 한다. 관련국들의 공정하고 책임있는 역할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대통령은 “(북한의) 연평도 도발 이전과 이후가 같을 순 없다”면서 “우리의 생명·재산을 위협하는 도발엔 단호하고 강력한 응징이 있을 뿐이다. 확고한 억지력을 갖추기 위해 국방개혁에 더욱 박차를 가하겠다”고 말했다.
또 그는 “하나 된 국민이 최상의 안보다”라며 “튼튼한 안보에 토대를 둔 평화·통일정책을 수립, 실천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연간 5%대 고성장 △상승률 3% 수준의 물가안정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서민·중산층 생활 향상을 3대 경제운영 목표로 제시하면서 “금년은 ‘새로운 10년’을 여는 해다. 대한민국이 명실상부한 세계 일류국가가 되도록 하기 위해 정부는 국민과 함께 열심히 뛰겠다”는 각오를 다졌다.
이 대통령은 이어 “정부는 도움이 꼭 필요한 사람에게 맞춤형 복지로 촘촘히 혜택을 주는 걸 우선 목표로 하고 있다”며 “한정된 국가재정으로 무차별적 시혜를 베풀고 환심을 사려는 복지 포퓰리즘은 문제 해결책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