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법원 “산재 따른 절망감.죄책감에 자살, 업무상 재해”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1-17 08:39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송정훈 기자) 산업재해로 크게 부상한데 대해 절망감과 간병을 떠맡게 된 가족에 대한 죄책감 등으로 자살했다면 업무상 재해로 인정해야 한다는 판결이 나왔다.
 
 서울행정법원 행정6부(김홍도 부장판사)는 작업 중 지게차에 깔려 하반신이 마비된 후 자살한 양모 씨의 모친이 업무상 재해로 인정해달라며 근로복지공단을 상대로 낸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고 17일 밝혔다.
 
 재판부는 “양씨가 사고로 인해 40대 초반의 나이에 걷지 못하게 된 것은 물론 대.소변도 못 가릴 지경이 되어 80세 노모의 간병에 의존하게 되는 등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지킬 수 있는 최소한의 신체기능마저 유지하기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또 “자신의 비참한 상태와 회복이 불가능하다는 절망감 또는 좌절감, 노모에 대한 죄책감 등이 우울증으로 발전한 끝에 자살이라는 극단적 방법에 이르게 됐다”며 “자살과 업무상 상해의 인과관계가 인정된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교통사고나 산업현장에서 큰 사고를 경험한 경우 그로 인한 심리적 충격, 신체적 고통, 희망의 상실 등이 겹쳐 우울증과 같은 정신장애에 이르는 경우가 많고 지친 나머지 고통에서 벗어나려고 자살을 감행할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미역 가공업체에서 일하던 양씨는 2008년 9월 지게차에 깔리는 사고를 당해 척추가 골절되는 등 큰 상해를 입어 하반신이 마비됐다.
 
 그는 수개월에 걸친 재활치료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자 절망감과 팔순 노모에게 간병의 부담을 주고 있다는 죄책감 등으로 자살했다.
 
 이에 양씨의 모친은 근로복지공단에 유족보상금과 장의비 지급을 청구했으나, 업무상 재해로 볼 수 없다는 이유로 거절당하자 행정소송을 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