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는 목표치(3만8000여개)보다 많은 4만3000여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낸 지난해보다 3000여개 가량 늘려잡은 수치다.
유형별로 공공 부문에서는 480억원을 들여 공익형(급식도우미ㆍ거리환경개선ㆍ방범순찰), 인력파견형(주유원ㆍ판매원ㆍ가사도우미), 시장형(지하철택배ㆍ공동작업장운영ㆍ실버대리운전) 등 3만5000여개의 일자리를 마련할 방침이다.
구직을 원하는 노인은 이달 말부터 다음 달 초까지 관할 구청 및 수행기관에 신청서와 주민등록등본, 건강보험증사본 등을 제출하면 심사를 거쳐 3월부터 7개월간 일자리를 받을 수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