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7일로 예정돼 있는 박 후보자 청문회를 앞두고 민주당은 일찌감치 ‘반대’ 의사를 분명히 하고 있는 상황.
박 후보자가 지난 2008년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관련한 ‘촛불집회’ 당시 대검찰청 공안부장으로 재직하며 시국사건을 지휘한 사실만으로도 헌재 재판관으로서 부적격하다는 게 민주당 측의 주장이다.
여기에다 법조계의 고질적 관행으로 지적된 ‘전관예우’ 논란까지 더해 민주당은 정동기 전 감사원장 후보자에 이어 ‘두 번째 낙마’를 내심 기대하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 민주당 의원들은 23일 “박 후보자가 ‘회전문 인사’를 통해 최고사법기관에 복귀하는 것은 부적절한 행위다”며 “스스로 사퇴하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영선, 박우순, 박지원, 이춘석 의원 등은 이날 “박 후보자는 검찰 퇴임 한 달 반 만에 ‘김&장’ 법률사무소에 들어가 고위 공직자로서나 공익을 추구해야 할 법률가로서의 명예보다 사적 이익을 우선시했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특히 이들은 “과거 ‘김&장’이 전직 고위공직자나 고위 법조계인사를 기용해 온 전례에 비춰봤을 때 박 후보자 또한 전관예우를 목적으로 기용된 게 분명하다”며 “그럼에도 ‘통상의 처리기준과는 달리 처리되게 하고 고액의 수임료를 받는 전관은 거의 사라졌다’는 박 후보자의 인식은 국민 인식과도 동떨어져 있어 헌법재판관으로서 자질을 의심케 한다”고 지적했다.
박 후보자가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그는 지난해 7월 검찰 퇴임 뒤 9월부터 올 1월6일까지 4개월간 ‘김&장’에서 2억4500만원의 수입을 올렸다. 연봉으로 환산시 7억3000여만원에 이른다.
법사위 민주당 간사인 박영선 의원은 아주경제와의 통화에서 “무딘 검증은 없다”며 “야당 법사위원으로서 국민의 뜻을 담아 철저한 검증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