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장관은 같은 날 국회 국방위원들과의 티타임에서도 생포 해적을 금미호 인질 해결에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그런 식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외교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입장이다.
특히 맞교환을 하기 위한 우선 협상의 주체가 모호하다는 점과 45명대 5명이라는‘등가교환’의 가능성도 희박하다는 분석이다.특히 배후세력들이 해적 5명의 신병을 인도받기보다는 금미호 선원들의 몸값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다.
이에 대해 정부는 앞으로 해적과의 협상에 개입하지 않고 선원들의 석방금도 지급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또한 국방부도 25일 금미호 인질과 맞교환하는 것보다는 국내 처벌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내놓아 김 장관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수정했다.
김민석 국방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우리가 신병을 확보한 해적 처리 문제와 관련, 선원과 맞교환을 고려하면 좋겠다는 이슈가 제기됐는데 맞교환보다는 국내에서 처벌하겠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생각”이라며 “잘못한 사람을 가지고 활용하는 것은 맞지 않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