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취재현장>랩어카운트 규제 신중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03 15:11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주경제 이성우 기자) "증권사에서 적립식 자문형 랩어카운트 상품을 판매할 수 있도록 승인했으면서… 갑자기 상품을 못 팔도록 하면 경제적인 손실은 물론 고객 신뢰도 땅에 떨어지지 않을까 걱정입니다."

금융당국이 스팟 자문형 랩에 이어 적립식 자문형 랩도 규제에 나섰다. 증권가는 금융투자업계 전체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우려했다.

금융당국이 문제 삼는 것은 증권사에서 랩을 펀드처럼 운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적립식 랩은 달마다 들어오는 자금이 작아 개별적인 운용은 어렵다. 이런 이유로 펀드처럼 소액을 모아 집합적으로 운용하게 된다는 것이다.

증권가는 스팟 랩이나 적립식 랩 모두 금융당국에서 사전 심의를 받았던 상품이라면서 반발하고 있다.

상품 개발·출시를 위한 상당한 자금이 투입됐다. 이런 상황에 뒤늦게 규제안을 내놔 손실을 보게 됐다는 것이다.

물론 증권가도 자문형 랩 인기에만 편승해 경쟁적으로 유사 상품을 출시하면서 과열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번 금융당국 결정은 지나치게 서두른 감이 없지 않다.

적립식 랩은 초기이기는 했지만 출시 이후 큰 자금이 몰리지 않았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지나친 규제로 오히려 업계나 시장에 불신만 준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올 수 있다.

금융당국 입장에서는 투자자 보호를 위해 안전판을 마련해야 할 의무를 다해야 할 것이다.

그렇더라도 사전 심의를 통과시킨 이유조차 밝히지 않은 채 판매를 막아버리는 것은 신중한 모습으로 보기 어렵다.

자문형 랩 선전으로 주요 증권사는 실적을 크게 개선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가 이번 규제에 발목을 잡히는 분위기다.

업계로부터 의견을 듣는 절차를 번번이 생략한 채 일방적인 규제로 일관해서는 안 된다.

상품 출시를 무조건 막는 것은 업계 자율성을 강조한 자본시장법 시행 취지에도 맞지 않을 것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