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위원장은 “(저축은행 부실화 우려와 관련해) 국민들께 걱정과 불편을 끼치고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한 데 대해 금융당국 수장으로서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그는 “지배구조가 취약한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대주주와 경영진의 미흡한 준법의식에 따른 불법행위가 지속돼 왔다”며 “일부 저축은행은 재무구조가 취약하고 거래고객의 신용도가 낮아 신중한 자산관리가 필요했지만 위험자산에 대한 편중 운용과 과도한 외형 확대를 추구했다”고 저축은행 부실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 동일한 잘못이 반복되지 않도록 조속한 시일 내에 저축은행 부실 문제의 원인과 경위, 대책 등을 담은 백서를 발간할 것”이라며 “정책과 감독상의 문제점에 대한 냉정한 평가도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저축은행이 진정한 서민금융기관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며 “이를 위해 불법행위에 관련된 대주주에 대한 엄격한 제재와 주기적인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해 부적격자를 퇴출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또 “저축은행의 과도한 외형 확대를 억제하고 여신심사 및 사후관리 능력도 강화토록 하겠다”며 “저축은행 이용자 보호를 위해 재무제표 공시주기 단축, 허위·지연공시 제재 강화를 통해 신뢰성을 높이겠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부실 저축은행의 구조조정을 법과 원칙에 따라 신속하고 투명하게 추진하고 부실 책임자에 대해서는 민·형사상 책임을 추궁하겠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