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日교민 철수, 외교냐 안전이냐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1-03-20 18:27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리비아 사태 정부 늑장대응 재연 우려

(아주경제 정경진ㆍ강정숙 기자)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이 전세기 등을 동원해 일본에 체류 중인 자국 국민들을 철수시키고 있는 가운데 우리 정부는 여전히 교민 철수 문제를 놓고 신중한 입장을 보이고 있다.
 
정부가 교민 철수를 늦추는 것은 향후 일본과의 외교적 마찰을 우려하기 때문이지만, 정치적인 판단 때문에 교민 안전이 뒷전으로 밀리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0일 외교통상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18일 후쿠시마 원전 80㎞ 이내에 체류하는 교민들에 대한 대피령을 내린 데 이어 19일에는 센다이에서 활동하던 한국구조대를 니가타 지역으로 철수시켰다.
 
하지만 정부는 또 후쿠시마 원전 80㎞ 밖의 교민들에 대해서 가급적 안전한 지역으로 대피할 것을 권고하면서도, 이날 현재 '교민 철수'를 구체적으로 결정하지는 않았다.
 
정부 당국자는 후쿠시마 80㎞ 이외 지역 교민에 대한 대피 권고와 관련, "교민 철수 권고와는 분명히 다른 뜻"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정부가 사실상 교민들에 대한 철수 문제를 개인들의 자유의지와 판단에 맡긴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정부의 신중한 교민 철수 대응에 대해 교민들의 불안과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재일본 교민들은 한국대사관이 운영하는 소셜네트워크(SNS)에 "가고 싶어도 일 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남아야 하는 회사원 분들도 너무 불쌍합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칠 겁니까? 당장 귀국권고조치 내려주세요" 등의 글을 올리며 방사능 피폭에 대한 불안감과 정부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는 60여만명의 국민이 일본에 체류하고 있는 데다 삶의 터전이 일본인 분들이 압도적으로 많기 때문에 귀국권고조치를 내리기 힘든 상황"이라고 해명했다.
 
한 외교 전문가는 "리비아에서 뒤늦게 교민 철수를 결정했던 정부가 이번에도 또다시 시기를 놓쳐 교민 안전이 위협받지 않을까 우려된다"며 "정부가 늑장대응 논란에 휘말리지 않으려면 사태추이를 정확히 판단해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후쿠시마 원전 1호기와 2호기는 외부 전력선 복구로 위기상황에서 한발짝 벗어났지만 방사능 유출 불안은 해소되지 않고 있다.
 
20일 현재 원전 1∼4호기는 소방차와 헬리콥터 등을 이용한 냉각수 투입으로 상황 악화를 최소화하고 있지만, 원자로의 연료봉 노출과 사용후 핵연료(폐연료봉) 보관 수조의 수위 저하에 따른 방사능 대량유출은 계속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